자! 이젠, 네 차례야. 잘 만들어진 포트폴리오를 감상했으니 자신만의 것을 만들어 보는 게 어떨까? 혼자 시작하려면 막막할 테니 천천히 따라 해 봐. 포트폴리오는 다양하게 만들 수 있지만 그 중 손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수학 신문 만들기를 해 보려고 해. 수학 신문을 만들기 위해 자료 모으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이번에는 책을 통해 활동하는 방법을 소개할게. 활동 주제는 피타고라스야.
➊ 주제에 맞는 책 정하기
피타고라스 이야기가 나오는 책은 정말 많아. 피타고라스의 일대기를 그린 책도 있고 피타고라스 정리에 대해 설명해 주는 책도 있어. 종류도 매우 다양하지. 이 중에 피타고라스 법칙을 발견하는 과정에서 생긴 이야기가 담긴 책 한 권을 소개할게. 꼭 이 책이 아니어도 좋아.
● <;수학의 스캔들>; 테오니 파파스 글 / 경문사 (11쪽~17쪽)
수학 법칙 발견 과정에서 생긴 일화를 인물 중심으로 소개하고 있는 책이다. 수학자들의 이기적이고 비겁한 모습, 실수투성이인 모습들도 보여준다. 이것을 통해 수학은 딱딱하고 재미없는 학문이 아니라 수학 역시도 사람이 만들어낸 것 중 하나라는 것을 느끼게 한다. 표시한 페이지에서는 피타고라스에게 무리수의 발견이 어떤 의미이며 왜 그가 그것을 감추려 했는지에 대해 흥미진진하게 이야기한다.
★참고 도서
1) <;문명과 수학>; 리처드 만키에비츠 글 / 경문사 (32쪽~38쪽)
2) <;세상 밖으로 날아간 수학>; 이시하라 키요타카 글 / 파란 자전거 (21쪽~49쪽)
➋ 기사 내용 선택하기
일반 신문을 떠올려 봐. 다양한 성격의 기사들이 있잖아. 최근에 일어난 사건을 보도하는 기사도 있고, 생활 속 지혜를 소개하기도 하지. 한 쪽엔 광고도 있어. 신문을 만드려면 기사로 쓸 내용을 선택해야 해. 먼저 책 속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이야기는 특종 기사로 다뤄 보는 거야. 책에서 소개한 생활 속 수학의 원리를 수학 신문으로 볼 독자들을 위해 자신만의 기사로 바꿔 써도 좋아. 책에 나오는 수학자와 가상 인터뷰를 진행하면 인터뷰 기사를 만들 수도 있고, 수학자가 만든 법칙을 가상으로 판매하는 광고도 재미있을 거야.
➌ 기사 작성하기
특종 기사
특종 기사는 신문에서 가장 잘 보이는 위치에 쓰곤 해. 그만큼 특종 기사는 책에서 중요하게 다룬 내용이나 꼭 필요한 정보를 다루면 더 좋겠지. 또한 기사를 쓸 때에는 스스로 이야기를 만들어 내도록 하는 게 필요해. 그래야 창의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거든.
일반 기사
교과서에서 잘 볼 수 없었던 생활 속 이야기를 기사로 썼어. 머리 속에 쏙쏙 더 잘 들어오는 것 같아. 역시 우리 주변에서 수학이 사용된다는 말이 거짓말이 아니지? 기사를 쓰다 보면 점점 글솜씨도 좋아질 거야.
인터뷰
인터뷰 기사를 쓰기 전 평소에 수학자에게 궁금했던 질문을 먼저 생각해봐. 예상질문에 대한 답변을 스스로 생각하다 보면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거야. 이 친구처럼 채팅방을 이용해도 재밌겠는걸?
수학 광고
마지막으로 광고는 기발한 아이디어가 필요해. 수학 신문의 광고라면 수학책 광고나 학회회원 모집광고, ‘사람을 찾습니다’ 등의 광고를 생각할 수 있겠지. 광고기사를 쓰려면 광고하려는 대상의 특성을 잘 알아야 하고, 사람들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것이 필요해. 어떤 문구를 쓸 것인가, 어떤 사진 또는 그림을 쓸 것인가 생각해 봐. 그리고 실제로 신문에서 봤던 광고를 떠올리며 자신만의 생각을 넣어 새롭게 만들어 보는 거야.
아참!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고 하잖아. 포트폴리오도 마찬가지야. 하지만 예쁘게 꾸미는 것이 힘들다면 정성을 보여 주는 것도 훌륭한 방법이야. 학년이 올라갈수록 책과 가까워지기엔 더욱 힘든 현실! 주어진 시간은 부족하고 읽을 책은 넘쳐나잖아. 이럴 때일수록 현명하게 한 번의 책읽기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우수한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독서와 수학,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길 바랄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태풍을 알고, 수학을 알면 백전불태!
자동차보다 빠르고 우리나라를 덮고도 남는 태풍
뱅글뱅글 도는 태풍의 모양
태풍의 과거, 그리고 현재
100% 예측은 어려워
슈퍼컴퓨터보다 수치예보모델이 더 중요해
태풍 이름을 미리 맞혀 보자~!
세계의 수학자들이여, 단결하라!
수학자들은 왜 모였을까?
20세기 수학의 방향을 제시하다
수학자 올림픽의 꽃, 필즈상
수학·독서 포트폴리오 비법 전수
1 수학책과 친해지기
2 활동방법 익히기
3 포트폴리오 관찰하기
4 포트폴리오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