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태풍은 한 해에 얼마나 발생할까? 그리고 태풍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달은 몇 월일까? 앞으로 태풍은 점점 더 많아질까? 태풍에 대한 과거 자료를 정리하면 이런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통계는 방대한 자료를 정리하고 분석해 미래를 예측하는 수학의 한 분야다. 다음은 지난 30년 동안 태풍이 월별로 얼마나 발생했는지 정리한 표다.
 

태풍이 월별로 얼마나 발생했는지 정리한 표
 

한 해 동안 발생한 태풍은 평균 약 26건이었다. 발생 월 별로 보면 1월부터 4월까지는 1건 미만으로 태풍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7월부터 10월까지 4개월 동안 발생한 태풍은 전체 발생의 70%다. 그리고 1년 중 태풍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달은 8월로 평균 5.77건이 발생했다. 태풍은 여름부터 초가을에 많이 발생하며, 이 중 8월에 가장 많이 발생함을 알수 있다.
 
그렇다면 해마다 발생하는 태풍의 수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 지난 30년 동안 발생한 태풍 횟수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같은 자료를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로 나타냈다. 변하는 과정을 알아보기에는 꺾은선 그래프가 더 효과적이다.


지난 30년 동안 발생한 태풍을 분석해 본 결과, 해마다 발생한 태풍 횟수는 대체적으로 25회 안팎으로 비슷한 값이 많았다. 하지만 1998년 이후부터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렇다면 최고 바람의 속력이 1초당 44m 이상인 강한 태풍의 변화는 어떨까? 일기예보에서 종종 과거에 비해 강한 태풍이 잦다고 발표하는데 정말 그런지 자료를 통해 확인해 보자. 1904년부터 2009년까지 100여 년 동안 발생한 태풍을 최고 바람 속력 기준으로 1위부터 10위까지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태풍을 최고 바람 속력 기준으로 1위부터 10위까지 정리한 결과 표
 

바람의 속력이 빠른 10개의 태풍 중 무려 6개가 2000년대에 발생한 태풍이었다. 따라서 자료를 통해 강한 태풍이 2000년 이후에 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자료 정리와 분석을 통해 우리는 태풍의 발생 흐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한 태풍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것도 알았다. 실제로 기상연구원들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의 경로나 태풍의 특성과 같은 과거 기록을 분석하면서 미래를 예측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처럼 자료를 정리하는 일은 통계의 가장 기본적인 활동이며, 궁극적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데 밑거름 역할을 한다.
 

슈퍼태풍은 우리나라 기상청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명칭은 아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1분 동안 평균 바람의 속력이 1초당 65m 이상일 때 슈퍼태풍이라고 한다. 신문이나 방송에서 언급하는 슈퍼태풍도 이에 준하는 태풍으로 보면 된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기록적인 태풍 (기상청 공식 기록 기준)

● 사라 (1959년 9월)
역대 가장 많은 인명 피해를 발생시킨 태풍으로 849명의 사망자와 실종자, 37만여 명의 이재민 발생.

● 루사 (2002년 8월)
역대 가장 큰 재산피해와 많은 양의 비를 내린 태풍으로 약 5조 2000억원의 재산 피해와 기상 관측 이래 강릉에서 최대인 870.5mm의 비를 내림.

● 매미 (2003년 9월)
역대 가장 센 바람을 보인 태풍으로 기상 관측 이래 중심기압이 950hPa로 가장 낮았고, 순간 바람의 속력이 1초당 60m로 가장 빠름.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태풍을 알고, 수학을 알면 백전불태!
자동차보다 빠르고 우리나라를 덮고도 남는 태풍 
뱅글뱅글 도는 태풍의 모양 
태풍의 과거, 그리고 현재
100% 예측은 어려워 
슈퍼컴퓨터보다 수치예보모델이 더 중요해
태풍 이름을 미리 맞혀 보자~!
세계의 수학자들이여, 단결하라!
수학자들은 왜 모였을까?
20세기 수학의 방향을 제시하다
수학자 올림픽의 꽃, 필즈상
수학·독서 포트폴리오 비법 전수 
1 수학책과 친해지기
2 활동방법 익히기
3 포트폴리오 관찰하기
4 포트폴리오 만들기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0년 08월 수학동아 정보

  • 장경아 기자

🎓️ 진로 추천

  • 기상학·대기과학
  • 통계학
  • 수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