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요기사] 머릿속 맴도는 수능 금지곡 처치법

수험생 여러분께 유의사항을 알려 드립니다. 시간에 맞춰 입실해야 하며, 컴퓨터 사인펜을 반드시 준비해주세요. 전자기기는 반입 금지이니 아날로그 시계만 착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절대 이 글에 나와 있는 곡을 듣지 마십시오.

 

매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언급되는 노래가 있다! 한 번 들으면 끊임없이 귓가에 맴돌아 도저히 집중할 수 없게 만들어 수험생이 호환 마마보다 더 무서워한다는 ‘수능 금지곡’이다. 

 

대표적으로 ‘링!딩동, 링~딩동, 링 디기딩디기 딩딩딩’을 계속 흥얼거리게 되는 샤이니의 ‘링딩동’이 있다. 그리고 SS501의 ‘U R Man’, 아이콘의 ‘사랑을 했다’가 그에 어깨를 견준다. 아이돌 노래 외에 또 강력한 곡으로는 CF 음악이 있다. 방송인 전현무가 이상한 춤을 추며 선전하는 비타민 음료의 CF 음악과 EXID의 하니가 춤을 추며 선전하는 앱 CF 음악도 절대적인 수능 금지곡이다. 

 

머릿속을 침범한 범인의 정체, 귀벌레

 

 

과학자들은 이런 현상을 ‘귀벌레 현상’이라 말하며 연구하고 있다. 귀벌레 현상은 영국의 소설가 데스먼드 배글리가 1978년에 쓴 소설 <플라이웨이>에서 처음 등장한 이후 영미 문학에서 종종 쓰이던 말이다. 

 

제임스 켈러리스 미국 신시내티대학교 교수는 사람들의 98%가 귀벌레 현상을 경험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귀벌레 현상을 분석해보니 이 현상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오래 지속됐다. 또한 가사가 있는 노래가 귀벌레 현상의 73.7%, CF 음악이나 광고 음악은 18.6%, 기악곡 음악은 7.7%를 차지했다.

 

이런 중독성 때문에 역으로 귀벌레 현상을 마케팅에 이용하기도 한다. 중독성 있는 노래를 만들어서 광고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이에 2016년 영국 세인트앤드루스대학교 연구팀은 귀벌레 현상의 강도를 알 수 있는 공식을 만들었다. 리듬이 얼마나 반복되는지, 다음 구절이 얼마나 예측 가능한지에 따라 귀벌레 현상이 강하게 나타난다는 식이다.

 

 

귀벌레 처치 방법!

 

 

 

계속 맴도는 귀벌레 현상에서 탈출할 수 있을까? 어떻게든 피하려고 했는데, 이미 중독이 됐다고 절망하지 말자. 완벽한 퇴치는 불가능하지만 귀벌레를 쫓아내는 방안을 연구한 사람이 있다. 

 

아이라 하이먼 미국 웨스턴워싱턴대학교 음악심리학과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적당히 어려운 일을 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한다. 그는 뇌의 인지기능을 활성화하면 머릿속에서 맴도는 노래의 영향력을 줄일 수 있다고 가정하고 여러 실험을 했다. 그 결과 단어를 뒤집는 게임인 ‘애너그램’을 하거나 가로와 세로가 모두 9칸으로 나눠진 격자판의 각 줄에 숫자 1~9를 하나씩만 채워 완성하는 ‘스도쿠’를 했을 때 귀벌레 현상이 줄었다. 주의할 점은 스도쿠의 난도가 높으면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니 너무 어려우면 안 된다는 것이다 

 

또 하이먼 교수는 문제의 노래를 찾아 끝까지 들어버리라고 한다. 그는 머릿속에 맴도는 노래가 대개 일부분만 알고 있어 끝마치지 못한 상태로 남아 있는 게 원인이라고 봤다. 즉 끝내지 못했기 때문에 반복해서 생각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영국 레딩대학교 연구팀은 껌을 씹는 것을 추천한다. 음악을 듣고 기억하는 뇌의 부위는 청각뿐 아니라 말하기를 담당하는 곳과도 연관돼 있어 껌을 씹으면 귀벌레 현상을 만들지 못한다고 한다. 

 

 
라라 아아아! 로마로마마, 가가오라라!’ 레이디 가가의 ‘Bad Romance’는 영국 런던대학교 연구팀이 선정한 귀벌레 현상이 가장 강력한 곡이다. 연구팀은 3,000명을 대상으로 실험하고 통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