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 대~ 머리~.’
저음부터 고음까지 능수능란하게 넘나드는 음역, 마이크 없이도 쩌렁쩌렁 울리는 목소리로 관객들의 심금을 울렸던 판소리 명창이 있다! 바로 김소희 명창이다.
1917년 12월 1일,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흥덕면에서 태어난 김 명창은 판소리뿐 아니라 무용과 서예 등 전통 예술이라면 분야를 가리지 않고 뛰어났다. 그는 1972년 한국 국악 최초로 미국 카네기홀에서 판소리를 열창했다,
판소리는 우리나라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전해 내려온 전통음악으로, 언제 어떻게 시작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판소리는 긴 이야기를 노래로 부르는 양식이라 판소리를 구성하는 대본이 있어야 하고, 이를 노래로 부르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북을 치는 ‘고수’의 장단에 맞춰 부르는 ‘소리’는 노래를 부르는 ‘창’과 말로 이야기하는 ‘아니리’가 번갈아 나온다. 이야기 대본인 사설은 이 형식에 맞춰 만들어진다.
그래서 판소리를 하는 소리꾼은 노래와 연기력 모두 뛰어나야 한다. 전통 예술의 다방면에 뛰어났던 김 명창이 타고난 소리꾼이 될 수 있었던 이유다.
판소리 명창이 되려면 저음과 고음을 자유자재로 오가며 기교를 잘 구사해야 한다. 또 춘향가와 심청가처럼 슬픈 곡을 부르기 위해 목소리에는 애절함이 묻어나야 한다. 김 명창은 15세에 남원 춘향제 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1등을 했는데, 어린 나이에 한 맺힌 목소리로 능수능란하게 기교까지 부려 하늘이 내린 목소리를 가진 소리꾼으로 불렸다. 판소리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됐을 때, 김 명창이 첫 번째 인간문화재가 된 건 당연한 일이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2407/1720930828-92e3aeeb-7f6c-43fb-8a34-06e469e69058.png)
영화에서는 종종 소리꾼이 판소리 명창이 되기 위해 폭포수 밑에서 소리를 내는 훈련을 한다. 그런데 실제로 소리꾼은 폭포수 밑에서 연습을 하지는 않는다. 폭포처럼 습도가 높은 곳에서 연습하면 목이 쉽게 망가지기 때문이다. 다만 판소리 명창이 되기 위해 득음을 하면 그 소리가 폭포수 떨어지는 소리를 뚫고 나가 시끄러운 와중에도 들린다고 한다. 득음을 시험해보느라 폭포수 앞에서 소리를 질러보는 경우는 있다.
그런데 1996년 문승재 아주대학교 교수가 한 학술회의에서 발표한 연구를 보면 폭포에서 득음을 시험하는 게 전혀 생뚱맞은 일은 아니다. 이 연구에서 보통 사람의 목소리와 소리꾼의 목소리를 분석했는데,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
문 교수는 목소리 주파수와 강도의 상관관계에 주목했다. 주파수는 단위 시간 안에 몇 개의 주기나 파형이 반복됐는가를 나타내는 수다. 주파수의 단위는 Hz로, 1초당 1회 반복하면 1Hz다.
보통 사람의 목소리는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 큰 진폭을 나타내고,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진폭이 급격히 감소한다. 그러나 소리꾼은 중간 높이에서 소리가 매우 커서 일반인과 큰 차이를 보였다. 음향학적으로 봤을 때 판소리 수련의 핵심은 이 중간 높이 소리다.
이처럼 중간 음역 소리가 강한 것은 성악가의 노래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성악가의 목소리는 관현악의 반주를 뚫고 청중의 귀에 들린다.
소리꾼과 성악가의 소리 모두 중간 높이 음역이 핵심이지만 차이는 있다. 서양의 성악은 공명을 이용하고, 판소리는 생목을 이용한다. 그래서 판소리를 하는 소리꾼은 평소 목소리가 곧 판소리를 할 때의 목소리지만, 성악가는 평소 목소리와 노래할 때의 목소리가 다르다.
그렇다면 이 중간 음역과 폭포수 소리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폭포수 소리는 고음과 저음이 거의 비슷한 크기다. 따라서 훈련이 잘된 소리꾼이라면 중간 음역에서도 큰 강도를 나타내 폭포수 소리를 뚫을 수 있다. 비록 소리꾼이 폭포수 밑에서 연습하는 것은 흔한 일이 아니지만, 득음을 판단하는 수단으로 폭포를 이용하는 데는 나름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