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댓글로 듣는 음악! 2020년 상반기에 최고로 히트한 2017년 노래! 2002년에 가수로 데뷔한 비를 2002년생에게도 대세로 만든 노래! 바로 ‘깡’이다. 앞의 글은 유튜브에 올라온 깡 뮤직비디오에 달린 댓글이다. 혹평 일색이던 깡이 어떻게 2020년 대세가 된 건지 수학적으로 파헤쳐 보자.
깡은 2017년 12월에 발매한 가수 비의 미니앨범 ‘MY LIFE愛’의 타이틀 곡이다. 당시 깡은 이른바 ‘실패한 노래’였다. 모든 음원 차트에서 ‘탑 100’에 들지 못했고 음악적으로도 평론가들에게 혹평을 받았으며 음원, 뮤직비디오 모두 반등하지 못한 채 빠르게 잊혔기 때문이다.
그런데 2020년에 갑자기 깡이 다시 실시간 순위에 진입했다. 이뿐만 아니라 유튜브에는 깡 챌린지가 범람하고 심지어 비는 깡으로 CF까지 찍었다. 묻혔던 좋은 노래가 입소문을 타 다시 유행하는 일반적인 ‘역주행’과는 달리, 깡의 역주행은 여전히 노래에 관한 평이 좋지 않다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이었다.
갑작스러운 여론 변화, 파국이론이 설명
발매한 지 2년 반이나 지난 노래가 갑자기 큰 인기를 누리는 일은 흔치 않다. 깡의 경우 특정 방송에 나와서 유명해졌다거나 EXID의 ‘위아래’ 영상처럼 갑자기 회자되는 등의 뚜렷한 계기가 있는 것도 아니다. 혹평에 시달리던 깡은 어떻게 여론을 뒤집고 대세로 자리한 걸까?
깡의 인기처럼 세상에는 결정적인 계기를 알 수 없는 급격한 변화가 많다. 조금 전까지 괜찮던 다리가 돌연 무너지기도 하고, 고요해보이던 군중이 갑자기 폭동을 일으키며,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주가가 폭락한다. 이처럼 작은 변화에 의한 급격한 상태 전환을 설명하는 수학 이론이 ‘파국 이론’이다.
파국 이론은 프랑스 수학자 르네 톰이 제안했으며, 작은 변화가 쌓여 광범위한 큰 변동이 일어나는 현상을 수학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 방법이다. 수와 식뿐만 아니라 기하학적인 구조로 자연, 사회 현상을 설명한다.
파국 이론에서는 원인의 공간과 결과의 공간을 구분한다. 원인 공간에 있는 변수의 움직임에 따라 결과 공간에 있는 함숫값이 결정된다. 이때 결과 공간은 휘어진 곡면이므로, 어떤 지점에서는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지점들을 ‘파국 지점’이라고 부른다.
파국 이론으로 본 깡의 인기
그런데 점 X쯤에 이르러 깡에 대한 흥미가 줄어 깡 뮤직비디오를 보는 횟수가 조금 줄었다고 하자. 그러면 원인 공간에서 길 s는 점 X에서 A방향으로 꺾이는데, 결과 공간에서 점 A가 A'로 급변하는 파국 지점이다. 즉 이 위치를 지나면서 갑자기 깡의 여론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며 혹평 일색이었던 조롱 분위기에서 국민적 인기를 누리는 대세로 떠오른다.
사실 비는 가수로서 충분히 기분이 나쁠 수 있을 만한 댓글에도 ‘너무 재미있고, 더 놀아주셨으면 좋겠다’라며 대인배로서의 면모를 보이며, 1일 1깡 현상을 즐겼다. 넓은 아량도 깡의 인기에 도움이 됐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