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집] 감마선 폭발 vs 우주 쓰레기? 과학자들, 논쟁을 벌이다!

작년 12월, 중국 북경대학교의 장린화 박사팀은 아주 특별한 감마선 폭발을 관측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런데 다른 연구팀이 여기에 딴지를 걸었어요. 사실은 그게 우주 쓰레기에서 반사된 빛이라나요?

 

 

중국 연구팀이 발견한 감마선 폭발은 ‘GN-z11’이라는 은하에서 나온 것으로, 우주 탄생 이후 겨우 4억 2000만 년 후에 일어난 것이었어요. 지금까지 관측된 가장 오래된 감마선 폭발로, 관측될 확률은 100억 분의 1 정도예요.


그런데 올해 10월, 두 연구팀이 반론을 제기했습니다. 우선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의 찰스 루이스 스타인하트 연구팀은 중국 연구팀이 관측한 섬광이 감마선 폭발이 아니라 우주 쓰레기 때문일 확률이 훨씬 더 높다고 주장했습니다. 인공위성의 잔해부터 로켓 부스터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우주 쓰레기가 지구 궤도를 돌고 있어요. 덴마크 연구팀은 섬광이 감마선 폭발보다 우주 쓰레기에서 반사한 빛일 확률이 100만~1000만 배 정도 높다고 계산했지요. 한편, 폴란드 연구팀은 중국 연구팀이 관측에 사용한 켁 망원경● 앞을 지나간 우주 쓰레기를 찾았어요. 그 결과, 러시아의 프로톤 로켓이 망원경의 시야를 지나간 것으로 분석했어요. 폴란드 아담 미츠키에비치대학교의 미하우 예지 미하워프스키 연구원은 “중국팀이 본 것은 러시아 로켓의 잔해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죠.


논쟁은 지금도 진행 중이에요. 이런 반박과 논쟁이 불편하다고요? 천동설과 지동설처럼, 예로부터 과학은 끝없는 논쟁을 통해 가장 적합한 설명을 찾아가는 과정이었어요. 과학의 본성을 잘 보여주는 이 논쟁에 2021 어과동 어워드를 주고자 합니다!

 

●켁 망원경 : 미국 하와이 마우나케아산에 있는 천문대로, 두 대의 망원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