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으로 즐기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4편
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 입니다!
2018년의 평창 동계올림픽의 종목 중에서 이색 경기를 꼽으라면 아마도 이 경기가 쉽게 떠오를 거라고 생각해요. 동그랗고 묵직한 커다란 돌을 빗자루로 빙판을 쓸면서 원하는 곳에 옮기는 경기, 바로 ‘컬링’이에요. 컬링은 얼음 위의 체스라는 별명이 있을 만큼, 얼음 위에서 벌어지는 두뇌 스포츠라고도 하는데요, 오늘은 기사를 토대로 컬링이 어떤 경기인지 또 컬링에 숨어 있는 다채로운 과학 원리를 알아보기로 해요.
위키미디어(JordanPindercurler)
<;수업안내>;
1. 대상 : 동계올림픽의 경기 종목중 하나인 컬링에 담긴 과학 원리가 궁금한 학생이라면 누구나.
2. 제목 : 얼음 위의 물리학, 컬링!
3. 수업 목표
① 동계올림픽 종목인 컬링이 어떤 종목인지 알 수 있다.
② 컬링의 빙판이 스케이트 빙판과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③ 컬링의 스위핑에 담긴 과학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④ 스톤이 휘어지는 이유, 스톤의 모양과 성분을 설명할 수 있다.
4. 교과 연계
초등 3~4학년 무게, 중학교 마찰력
5. 수업 지도 순서
동계올림픽 종목 중 이색 종목 중 하나인 컬링이 어떤 종목인지 설명 한다. ▶ 컬링의 빙판이 스케이트 빙판과 다른 점을 설명 한다. ▶ 컬링의 스위핑에 담긴 과학적 원리를 설명 한다. ▶ 스톤이 휘어지며 움직이는 이유를 설명 한다. ▶ 스톤의 성분과 모양 등의 특징을 설명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