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집] “너…, 아픈 냄새가 나….” 입냄새로 질병 진단하는 센서 개발!

이다솔 기자

의학상

입냄새의 원인은 입속 질환부터 위장 질환까지 다양해요. 어떤 질환이 원인이 되어 입냄새가 나는지를 알려면, 날숨에 어떤 물질이 있는지 찾아내야 하죠. 이런 진단을 집에서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센서가 개발됐어요.

 

구취(입냄새) 환자가 병원에 가면 가장 먼저 날숨에 휘발성 황 화합물이 있는지 측정해요. 휘발성 황 화합물은 입속 혐기성 세균이 음식물 찌꺼기를 분해하며 만들어내는 물질이에요. 계란 썩는 냄새와 같은 고약한 냄새를 풍기지요. 입속 혐기성 세균은 치주질환이 심해지면 많이 생겨요. 즉, 환자의 날숨에 휘발성 황 화합물이 많다면 입냄새의 원인은 구강 질환이라고 판단하고 치료할 수 있지요. 


이런 진단을 집에서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길이 열렸어요. 7월 28일, KAIST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팀과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공동연구팀이 황 화합물을 매우 정확하게 감지하는 구취 센서를 개발했다고 발표했거든요. 날숨에서 황 화합물을 감지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에요. 황 화합물이 차지하는 농도가 기체 분자 10억 개 중에 하나에서 100만 개 중에 하나 정도로 매우 낮기 때문이에요. 기존 구취 센서는 황 화합물의 농도가 10억 분의 1 정도로 낮으면 감지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지요.


연구팀은 기존 센서에 쓰이던 텅스텐 소재에 소금을 더하고 500℃로 가열해 새로운 촉매를 개발했어요. 소금 속 나트륨 성분이 황과 잘 반응하는 성질을 이용했지요. 이 새로운 촉매를 기존 센서에 쓰이던 백금 촉매와 함께 사용한 결과, 기존 센서보다 황 화합물을 감지하는 능력이 10배 이상 향상됐다는 걸 확인했어요. 특히 1ppm●의 황화수소 기체를 감지하는 수준은 세계 최고라는 걸 확인했지요. 김일두 교수는 “날숨으로 구취 외에도 다양한 질병을 병원에 가지 않고도 진단하는 기기를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답니다.

●ppm : 100만 분의 1의 농도를 가리키는 단위.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