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포그래픽] 핵융합 에너지가 도시를 밝히기 까지

핵융합 발전은 바닷물에 풍부한 중수소와 지표면에서 쉽게 추출할 수 있는 리튬(삼중수소)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자원이 무한하다고 볼 수 있다. 이산화탄소나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발생할 위험도 없어 미래 에너지원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핵융합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기반기술 확보부터 핵융합실증로 건설까지 단계에 따라 기술적 진전이 이뤄져야 한다. 핵융합 상용화를 위한 로드맵과 핵융합 발전소에 적용될 첨단 융합기술을 살펴봤다. 

 

한국 핵융합 연구 발전 과정

한국의 핵융합 에너지 연구는 여타 선진국에 비해 길지 않다. 본격적인 핵융합 연구는 2007년 KSTAR가 건설되며 시작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짧은 시간에 수많은 연구성과를 내며 핵융합 에너지 강국에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KSTAR부터 핵융합 발전소로

한국의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는 총 네 단계로 이어진다.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KSTAR)부터 핵융합 발전소가 건설되기까지 약 50년이 걸릴 것으로 예측되는 초장기 프로젝트다. 각 연구 과정에서 필요한 장치의 특징과 중점적 연구분야 등을 알아봤다.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