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


로봇 물고기였다니…. 정말 깜짝 놀랐지 뭐야.
앗, 그런데 저기 인어가 있는 것 같아. 이번엔 저 인어를 따라가 볼까?
흐익~! 깜짝이야! 자세히 보니 인어가 아니잖아? 넌 또 누구니?


오션원, 난파선 탐사에 성공!


작년 4월 15일, 프랑스 툴롱 지역 바다에 인어가 나타났어요. 계란을 닮은 얼굴형에 까만 눈, 앞으로 쭉 뻗은 두 팔, 그리고 두 다리가 합쳐진 듯한 하체는 인어를 꼭 닮았지요. 이 인어의 정체는 바로 ‘수중로봇’이에요.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오사마 카팁 교수팀이 개발한 해저 탐사용 로봇 ‘오션원’이랍니다.

이날 오션원은 1664년, 루이 14세 때 침몰한 난파선 ‘라 룬’을 탐색했어요. 라룬은 수심 90m까지 가라앉아 있기 때문에 사람이 오랜 시간 동안 탐사하기가 어려웠어요. 물속에서는 1m를 내려갈 때마다 압력이 1기압씩 높아지는데, 90m 깊이에서는 사람이 느끼는 압력이 무려 10기압까지 높아지거든요.
 
배 안에 설치한 조종실에서는 오션원의 팔과 비슷하게 생긴 로봇팔 ●햅틱 장치로 오션원의 팔 움직임을 직접 조절할 수 있어요. 손가락으로 움켜쥘 수 있게 생긴 햅틱 장치는 오션원이 물건을 움켜쥘 때 느끼는 힘까지 그대로 전달하거든요. 연구원들은 이 햅틱 장치로 오션원이 물건을 집어올리거나 땅을 파는 등의 일을 하도록 조종할 수 있답니다. 라 룬을 탐사하던 날, 오션원은 이런 조종 과정을 거쳐 바닷 속에서 작은 꽃병 하나를 건져올렸지요.

●햅틱 장치 : 사람이 만지는 촉각이나 힘까지 느낄 수 있는 장치.
 
카팁 교수팀이 은색 햅틱 장치(사진 왼쪽 아래)로 오션원의 팔을 미세하게 조종하고 있다. 화면에 보이는 것은 물 속에 들어가 있는 오션원의 모습.


 인터뷰 

로봇은 여러 과학 분야의 집합체_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김보연 연구원

오션원 설계에 참여한 10여 명의 과학자 중에는 우리나라 김보연 연구원도 있어요. 현재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컴퓨터공학과에서 박사 과정 중인 김보연 연구원으로부터 오션원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보았어요.


Q. 오션원을 만들게 된 계기가 있나요?
저희 연구실에서는 본래 일본의 휴머노이드 로봇 ‘아시모’를 이용해 연구를 해왔어요. 그러던 중 지구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바닷 속을 탐사할 로봇이 많지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됐고, 휴머노이드 수중로봇을 만들자는 아이디어까지 발전시키게 됐지요.

Q. 오션원이 사람을 닮은 이유가 있나요?
다양한 수중로봇이 있지만 팔이 없는 경우가 대다수예요. 또는 팔이 있어도 관절 하나하나를 따로 조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죠.

저희 연구실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팔을 가진 수중로봇을 개발하게 됐어요. 또 조종하는 도구도 로봇팔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햅틱 장치로 만들었고요. 그 결과 오션원은 사람처럼 두 손으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됐어요. 또 사람이 쓰던 도구를 그대로 쓸 수 있답니다.

Q. 로봇공학자를 꿈꾸는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

로봇은 여러 과학 분야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어요. 다양한 분야의 과학지식이 모두 필요하지요. 오션원을 만들 때에도 기계공학자, 수학자를 비롯해 많은 과학자들이 함께 했답니다.

그러니 주변에 관심을 가지고 과학적인 사고력을 길러 보세요. 또 요즘은 아두이노처럼 공학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구가 많으니 이런 방법을 활용한다면 더욱 도움이 되리라 생각해요.

사실 저도 어렸을 때 <과학동아>를 보며 과학자의 꿈을 키웠어요. 멀리서도 늘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을 응원할게요. 파이팅!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상어도 깜짝 놀란 수중로봇이 온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7년 15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신수빈 기자 sbshin@donga.com
  • 기타

    [도움 및 사진] Teddy Segui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건설로봇사업단 장인성 단장, 김도영 기술원, Robosea,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김보연 연구원, 홍콩과학기술대학교 윤홍서 학생, MATE Center, 게티이미지뱅크 외
  • 일러스트

    이창우

🎓️ 진로 추천

  • 컴퓨터공학
  • 기계공학
  • 전기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