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Part 5. 우롱이와 함께 만든 생태일보

기획취재꿀벌에게 밥을 줘요!

주홍날개꽃매미를 알고 있나요? 날개 안쪽이 선명한 주홍색을 띠고 있는 주홍날개꽃매미는 나무 수액을 마구 빨아먹는 해충이지요.

2008년 경, 주홍날개꽃매미의 수가 갑자기 늘어나서 문제가 됐어요. 그런데 그 이유가 보니 놀랍게도 나무였답니다. 당시 우리나라에 주홍날개꽃매미가 좋아하는 ‘가죽나무’의 수가 확늘어났거든요. 가죽나무는 원래 따뜻한 중국 남쪽 지역에서 살던 외래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가로수로 쓰였지요. 원산지보다 추운 우리나라 기후에 잘 적응하지 못했지만, 2006년에 이상고온 현상이 이어지며 가죽나무 수가 늘기 시작했지요.

이처럼 외래종 식물이 늘어나면 우리가 잘 모르는 해충들이 늘어날 수 있어요. 녹지의 식물이 바뀌면, 식물을 먹고 사는 1차 소비자의 종류도 바뀌거든요. 그런데 요즘에는 가죽나무를 포함해 리기다소나무, 미국자리공, 가시박 등 외래종 식물이 마구 늘어나고 있대요. 이런 외래종 식물보다 우리나라에서 오래 살아온 ‘자생종’ 식물을 많이 심는 건 어떨까요? 자생종은 특히 꿀벌에게 큰 도움이 돼요. 꿀벌은 꽃의 꽃가루를 옮겨서 씨앗과 열매를 맺게 하는 아주 중요한 곤충이에요.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꿀벌 수가 40~45% 줄어서 문제가 되고 있어요. 우리나라 토종벌도 2010년에 약 75~80%가 사라졌답니다. 꿀벌을 죽이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가 퍼지고, 꿀벌이 꿀을 빠는 ‘밀원식물’이 줄어들었기 때문이지요.
자생종 식물의 꽃은 꿀벌이 아주 좋아하는 밀원식물이랍니다. 우리가 들국화 같은 자생종을 녹지 여러 곳에 심으면 꿀벌에게 달콤한 밥을 줄 수 있어요. 이 과정에서 꿀벌이 꽃가루를 옮기 때문에 식물도 좀 더 많은 열매와 씨앗을 맺을 수 있고요. 꿀벌은 한 녹지의 꽃가루를 다른 녹지로 전달하며 식물들의 유전자가 서로 섞이게 해주고, 녹지도 넓히는 소중한 존재랍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5년 01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환경학·환경공학
    • 산림·작물·원예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