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실 여섯! 복권으로 실천한 이웃사랑

복권 기금은 다문화 가정, 노인을 위한 복지 사업과 소외된 계층을 위한 문화 공연 및 과학교육 사업과 같은 공익 사업에 주로 쓰인다.
 

이제 복권의 마지막 오해를 풀어 볼까요? 저는 수학의 명문가 ‘베르누이 가문’ 출신인 자코브 베르누이입니다. 여러분은 복권 하면 뭐가 생각나시나요? 1등에 당첨되는 핑크빛 대박의 꿈도 생각나지만, 노력보다는 요행으로 당첨을 노리다 복권의 노예가 되는 어두운 모습도 떠오를 겁니다.

많은 사람들이 복권의 수익금이 당첨금으로만 사용된다고 알고 있지만 그것은 오해입니다. 복권으로 생긴 수익금의 약 40%는 복권기금으로 쓰인답니다. 한 장의 복권 가격이 1000원이라면 이 중 400원은복권기금이 되는 것이지요. 예나 지금이나 복권은 국가의 사업이라서 복권 수익금의 상당한 비율이 공익을 위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복권기금이 주로 쓰이는 곳은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첫째는 저소득층에 필요한 주택을 짓는 일에, 둘째는 국가 유공자의 복지에, 셋째로는 장애인, 다문화가정과 같은 소외계층 지원에 쓰입니다. 마지막 네 번째로는 자연재해나 재난과 같은 구호 사업에 쓰이기도 하지요.

 

실제로 2011년 국내 복권기금에서 10개의 나라기관 사업에 쓰인 돈은 약 3600억 원이었고, 공익사업에 쓰인 돈은 약 8300억 원입니다. 모두 합하면 1조원이 넘는 돈이 복권을 통해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곳에 쓰였다는 뜻입니다. 복권은 당첨된 사람뿐 아니라 알게 모르게 이웃을 돕고 있는 수단인 것이지요.

한편 복권기금은 유명한 건축물을 짓는 데도 쓰입니다. 특히 미국의 아이비리그라고 불리는 명문대학교 중 일부는 복권기금을 이용해 세워진 학교가 많습니다. 하버드대, 프린스턴대, 예일대, 컬럼비아대는 복권기금으로 세운 학교의 대표적인 예랍니다. 또 중국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만리장성과 호주 시드니의 오페라하우스를 짓는 데도 복권기금이 쓰였습니다.
 

❶ 명문대학교로 유명한 예일대는 복권 기금으로 설립된 학교다. 미국은 복권 기금으로 학교나 교회를 설립한 경우가 많은데, 50개의 대학과 300개의 학교, 그리고 200개의 교회가 복권 기금으로 설립됐다고 한다. ❷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있는 미술관으로 천재 화가 반 고흐의 작품이 전시돼 있다. 유럽 사람들이 가장 사랑하는 미술관 중 하나인 이 미술관 역시 복권 기금으로 세워졌다. ❸ 중국의 대표적인 관광지 만리장성도 복권 기금으로 건립됐다. 진나라 때 국가적으로 시행한 복권게임 ‘키노’가 있었는데, 이 기금이 만리장성을 쌓는 데도 활용됐다. ❹ 호주 시드니의 상징 오페라하우스 역시 복권 기금으로 만든 건축물이다.
 

복권의 수익금이 꼭 당첨금에만 쓰인다고 생각했던 오해가 좀 풀리셨나요? 복권은 작은 돈으로 이웃 사랑을 실천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자가 말하는 복권의 진실, 확률로 풀다!
진실 하나! 복권의 조상은 도박이다!
진실 둘! 1등이 10명씩 10번 나와도 이상한 일 아니다!
진실 셋! 복권당첨 확률 높일 수 없다
진실 넷! 행운의 숫자는 없다!
진실 다섯! 연금복권은 연금이 아니다
진실 여섯! 복권으로 실천한 이웃사랑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1년 10월 수학동아 정보

  • 장경아 기자

🎓️ 진로 추천

  • 경제학
  • 사회복지학
  • 행정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