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독감 유행의 기미가 보이기 시작한 건 작년 11월 말이었어요. 11월 마지막 주에 독감으로 의심되는 환자가 1000명 당 13.3명을 기록하면서 독감 유행 기준(8.9명)을 넘어섰죠. 한 주 뒤인 12월 첫째 주에는 2배로 늘어난 34.8명, 그리고 둘째 주에는 61.8명, 셋째 주에는 86.2명을 기록하며 점차 심각해졌답니다.

초·중·고등학생들의 경우에는 특히 더 심했어요. 12월 셋째주에 병원을 방문한 학생 1000명 중 195명(10명 중 2명)이 독감 의심환자였거든요. 이는 1997년 우리나라가 독감 감시를 시작한 이래로 가장 높은 수치였답니다.

 

 

더 큰 문제는 유행이 빨리 시작됐다는 거예요. 최근 5년 동안 독감은 1월 초부터 서서히 유행이 시작됐는데, 이번에는 방학까지 한 달이나 남은 11월 말에 시작됐죠. 이에 정부는 지난 12월 8일 독감 유행주의보를 내리고, 각 학교에 방학을 앞당길 것을 권했어요. 학생들이 모여 있는 학교는 독감이 퍼지기 가장 쉬운 장소이기 때문이죠.

실제로 서울 강남구 양전초등학교는 전교생 457명 중 무려 72명(14%)이 독감으로 결석해 방학식을 4일 앞당겨 했어요. 이외에도 전국의 여러 학교들이 방학을 앞당겼고, 방학이 시작된 이후에야 독감 환자는 점차 줄어들기 시작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올겨울, 더 독해지고 빨라졌다! 독감의 습격
Part 1. 학교를 강타한 독감
Part 2. 독감의 정체를 밝혀라
Part 3. 때 이른 겨울이 독감 불렀다
Part 4. 바이러스는 변신의 달인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7년 03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서동준 기자·bios@donga.com
  • 도움

    박만성(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바이러스병연구소 교수), 윤선우(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러스감염제어연구센터 선임연구원)
  • 기타

    [일러스트] 이창우

🎓️ 진로 추천

  • 의학
  • 보건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