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볼라 쇼크

과일박쥐에서 시작된 세기의 재앙



세계보건기구(WHO)가 8월 8일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1976년 처음 에볼라가 발견된 이래 이토록 많은 사람이 감염된 사례는 처음이다.
WHO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건 2009년 신종플루 사태와 지난 5월 소아마비의 재발 이후 세 번째다.
그동안 풍토병(Endemic)에 그쳤던 에볼라가 유행병(Epidemic)을 넘어 이제 대유행병(Pandemic)으로 발전할 기세다. 이전과 전혀 다른 양상으로 진화하고 있는 에볼라는 과연 우리나라까지 올 것인가.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에볼라 쇼크
INTRO. 에볼라의 모든 것
PART1.전염의 시작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2014년 09월 과학동아 정보

  • 기타

    [기획·진행] 변지민, 송준섭 기자

🎓️ 진로 추천

  • 의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