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고층건물은 꾸준히 진화하고 있다. 이볼로 2018 미래 초고층건물 아이디어 공모전에 선정된 작품도 당장은 힘들더라도 충분히 실현될 가능성이 있다. 정 센터장은 “SF에 나오는 여러 디자인이 결국 실현되는 것처럼, 이 공모전은 미래 건축의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수직도시, 실현 가능할까


스위스 출신의 프랑스 건축가 겸 도시계획가 르 코르뷔지에는 1922년 프랑스 파리 빈민가의 주민 300만 명을 위한 ‘현대 도시’라는 계획안을 내놓았다. 이 계획의 핵심은 초고층건물이다. 60층 규모의 초고층건물을 십(十)자 모양으로 연달아 세워 그 안에 주민들을 입주시키자는 것이다. 미국 맨해튼이나 시카고에 초고층건물이 갓 들어서고 있던 당시에, 르 코르뷔지에의 초고층 계획도시는 너무나 급진적이고 이상적인 계획이었다.

 

그렇다면 지금도 불가능한 계획일까? 김 팀장은 “가장 가까운 미래에 현실이 될 수 있는 새로운 초고층건물은 초고층건물끼리 연결한 십자 모양일 것 같다”고 전망했다. 르 코르뷔지에가 거의 100년 전에 내놓은 계획이 이제 곧 실현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그동안 이런 모양이 힘들었던 건 위아래로만 움직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한계 때문이었다.

 

그런데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가 수직과 수평 방향은 물론, 유선형으로도 움직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 ‘멀티(MULTI)’를 개발하면서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르 코르뷔지에의 현대 도시 계획이 가능하려면 초고층건물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멀티는 로프를 없앤 엘리베이터로, 자기부상의 원리를 이용해 움직이기 때문에 수평 이동수단으로 쓸 수 있다. 구화기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이사(영업기술 담당)는 “멀티는 어떤 기하학적 모양의 레일이라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멀티는 2020년 독일 베를린에 세워지는 ‘이스트사이드 타워’에 설치될 예정이다.

 

멀티는 자기부상의 원리를 이용해 움직이기 때문에 수평으로도 움직일 수 있다.

 

 

초고층건물에서 바라본 우주


대기권을 뚫고 우주까지 높아진 초고층건물을 상상해보자. 초고층건물 꼭대기 우주전망대에서 지구를 내려다보고, 우주를 바라보는 상상을 해보자. 르 코르뷔지에의 현대 도시 계획처럼 처음에는 불가능해 보이지만 점점 실현 가능해지는 것처럼, 이 또한 언젠가 가능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 수석연구원은 “단순히 생각해 피라미드처럼 초고층건물을 만든다고 했을 때, 우주까지 쌓아올린 높이만큼 건물 밑면을 늘리면 가능할 수도 있을 것 같다”며, “지금과 같이 적절한 면적의 땅 위에 초고층건물을 쌓아올려야 한다면, 우주 궤도에 커다란 정지위성을 띄우고 초고층건물의 꼭대기를 위성과 연결해 건물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 같다”고 우주전망대의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점쳤다.

 

초고층건물을 향한 아이디어는 끝이 없다. 아직 재료나 기술이 따라오지 못할 뿐이다. 꿈꾸고 상상하다 보면 언젠가 이뤄질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정 센터장은 “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건축 분야에서 연구하면서 이뤄지지 않을 것 같던 상상이 실현되는 것을 많이 봐왔다”며, “불가능한 생각을 가능한 것으로 바꿔보겠다는 도전정신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으로 쌓아올린 미래도시, 초고층건물

Part 1. 피라미드는 초고층건물일까?

Part 2. 메가기둥 구조로 중력을 거스르다

Part 3. 지진으로 인한 ‘공진’을 막아라

Part 4. 바람에 넘어가진 않을까?

Part 5. 수학으로 새 옷 입은 초고층건물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8년 07호 수학동아 정보

  • 김경환 기자(dalgudot@donga.com)
  • 도움

    하태훈(대우건설 기술연구원 주택건축연구팀 수석연구원), 서인석(롯데건설 잠실 제2롯데월드 현장 기획 팀장), 김영학(롯데건설 잠실 제2롯데월드 현장 품질기술 팀장), 정란(단국대학교 초고층빌딩 글로벌 R&BD 센터장), 구화기(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이사), 김치경(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 기타

    [일러스트] 박장규
  • 참고자료

    초고층빌딩 설계·시공기술 연구단 ‘초고층빌딩 건축기술’

🎓️ 진로 추천

  • 건축학·건축공학
  • 도시공학
  • 기계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