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4가 옛날부터 중요한 숫자였다는 게 신기하지? 4의 참모습을 알게된 사람들은 4의 다양한 특성을 연구하기 시작했어. 그 뒤로 숫자 4의 가치들이 하나둘 발견됐지.
✚ 우리는 알지 못하는 사이에 숫자 4의 혜택을 입고 있단다. 자연 속이나 하루를 살아가는 가운데 안정을 주는 4가 있거든. 학자들이 열심히 연구해서 알아 낸 수학이나 과학 속에도 기본을 이루는 4의 특성이 잘 나타나. 특히 사람에 대해 연구할 때 4가 많이 쓰여. 4란 숫자는 둘씩 나눠서 서로 대립적인 관계를 표현하기에 좋거든. 그래서 사람의 기질이나 성격을 네가지로 구분하면 서로의 차이나 갈등을 설명하는 데 유리해. 이처럼 4가 가진 여러 가지 특성이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고 있어.
안정의 숫자
1 개나 고양이 같은 동물에게는 4의 특성이 살아 있어. 동물은 몸을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위해 4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거든. 두 다리로 서서 걷는 사람에 비해 동물이 허리병에 잘 걸리지 않는 이유지. 나비나 잠자리처럼 대부분의 곤충도 4개의 날개를 가져 안정적으로 날 수 있어.
2 4개의 꼭짓점과 변을 가진 사각형은 안정성이 높고 여러 개를 같이 쓸 때 가장 공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도형이야. 그래서 아파트나 학교 같은 건축물에서 책, 자동차, 카드 등 다양한 제품까지 모두 사각형을 기본으로 만들지.
기본의 숫자
1 수학의 기본 중의 기본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이지. 살아가는 중에 가장 널리 쓰이는 수학도 바로 네 가지 계산법이야.
2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DNA에도 기본의 숫자 4가 숨어 있어. DNA는 아데닌(A), 구아닌(G), 티민(T), 시토신(C)이라는 네 종류의 염기로 구성돼 있거든. 사람의 유전자 지도를 만들거나 복제 동물을 만들 때,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작업이 필수야. 과학수사대가 유전자 감식을 통해 범인을 찾을 때도 사건 현장에서 발견한 DNA를 뽑아 범인의 염기서열과 비교하는 방식을 쓰지.
사람의 숫자
1 고대 그리스의 의학자 히포크라테스는 사람의 체액을 혈액(다혈), 담즙, 흑담즙(우울), 점액으로 나누고 각자의 몸속을 지배하는 체액에 따라 기질이 결정된다고 생각했어. 18세기 들어 체액이라는 개념이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밝혀졌지만 네 가지로 분류한 용어는 기질과 관련돼 계속 쓰이고 있지. 다혈질은 활기차지만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담즙질은 자신감이 강하지만 차가워. 우울질은 창의력이 뛰어나지만 비판적이며 점액질은 낙천적이지만 우유부단하다고 하지.
2 분석심리학을 개척한 스위스의 칼 융은 사람의 심리학적인 기능을 네 가지로 구분했어. 사건이나 사람을 인식할 때 감각적으로 하느냐 직관적으로 하느냐에 따라 나누고, 인식한 것을 가지고 결론을 내릴 때 감정적으로 하느냐 사고를 거치느냐를 또 나눈 거지. 여기에 외향적이거나 내향적인 태도를 결합해 총 여덟 가지 성격으로 나눌 수 있다고 주장했어. 그의 이론은 성격 유형을 알아보는 MBTI 검사의 기초가 됐지.
3 조선시대 한의학자인 이제마는 사람의 체질이 장기의 크고 작음, 강하고 약함에 따라 총 네 가지로 나뉜다는 ‘사상의학’을 주장했어. 체질을 알면 같은 병이라도 더 정확한 치료를 할 수 있다는 거야. 태양인은 머리가 크고 목이 튼튼하지만 대체로 마른 편이고 태음인은 체격이 크고 살이 찐다고 해. 또 눈이 크고 가슴 부위가 발달한 사람은 소양인, 어깨가 좁고 엉덩이 부위가 발달한 사람은 소음인으로 나누지.
신비한 4의 원리
1 지도 위에 맞닿은 지역을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하려면 몇 가지 색깔이면 될까? 1976년 미국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학교 수학과의 아펠과 하켄 교수는 네 가지 색깔이면 충분하다는 ‘4색 문제’를 증명했어. 평면을 어떻게 쪼개든 네 가지 색깔이면 서로 구분할 수 있다는 뜻이야.
2 사람이 한 번 보고 인식할 수 있는 숫자는 몇 개일까? 심리학자들은 어른이나 아이 상관없이 모두 4개 정도라고 말해. 다섯 자리 이상의 수는 한 번에 기억하기 힘들다는 거야. 그래서 전화번호를 국번과 뒷번호로 4자리씩 나눠 읽지. 버스 번호가 4자리를 넘지 않는 것이나 차번호판이 4자리씩 되어 있는 것도 같은 이유야.
네모와 함께한 하루
네모난 이불에서 일어나 네모난 식탁에서 밥을 먹고 네모난 문을 열고 네모난 집을 나서 네모난 버스를 타고 네모난 카드로 교통비를 내고 네모난 학교에 가서 네모난 칠판과 네모난 책상에서 네모난 책을 펴고 공부를 한다. 네모난 휴대전화로 전화를 하고 네모난 TV를 보며 네모난 컴퓨터로 오락을 하다가 네모난 침대에서 잠이 든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숫자 4, 기 살리기 대작전
왜 4를 싫어하나?
숫자 4의 탄생과 성장
특성으로 살펴본 숫자 4
생활 곳곳 숫자 4의 활약
닥터 피노키오! 수학으로 거짓말을 밝혀 줘~
의뢰 1 군사작전을 해도 될까요?
의뢰 2 도박으로 날린 돈을 찾아 주세요
의뢰 3 마술의 비밀을 밝혀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