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 둘, 셋, 많다.” 아마존에는 셋을 넘어가면 더 세지 못하고 많다고 하는 원시부족이 있어. 숫자 4의 개념이 누구에게나 허락된 것은 아니라는 뜻이지. 그만큼 4가 세상에 태어나는 과정에는 많은 사람의 수고가 있었어.

✚ 가장 많이 쓰는 아라비아 숫자에서 4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옛날 사람들은 하나, 둘, 셋까지는 /, //, ///처럼 줄을 그어 간단히 표시했어. 하지만 넷부터는 줄이 많아져 다른 방법이 필요했지. 1세기경 인도에서는 //// 대신 +라고 쓰기 시작했어. 아랍 사람들도 마찬가지였어. 그러던 중 +를 빨리 쓰다 보니 위쪽 끝과 왼쪽 끝이 연결된 4가 탄생한 거야.
 

아라비아 숫자


중국에서도 처음에는 넷을 라고 썼어. 한자의 원형인 갑골문에 一, 二, 三 다음에 라고나타난 거지. 하지만 그 뒤 사방(口)을 서로 등지고 나눈(八) 모양에서 넷을 뜻하는 四가 됐어.
 

한자의 원형인 갑골문


만물이 수로 이뤄진다고 주장하던 피타고라스 학파에게 숫자 4는 특별한 존재였어. 1이 아닌 두 수를 곱해서 나온 최초의 합성수* 라는 거지. 그래서 4는 조화, 질서, 완성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됐어.  

그 뒤 그리스의 철학자 엠페도클레스는 모든 물질이 물, 불, 공기, 흙의 네 가지 원소로 이뤄져 있다는 ‘4원소설’을 주장했어. 네 원소가 서로 난다는 거야. 4원소설은 영국의 화학자 돌턴이 원자설을 주장하기 전까지 2000년 넘게 인정받았어. 이처럼 4는 세상의 여러 현상을 나타내는 데 많이 쓰이고 있어. 방위를 나타낼 때도 동서남북처럼 네 가지로 나누지. 계절을 뜻하는 봄·여름·가을·겨울도 네 가지로 돼 있어.
 

빨간 원으로 표시된 사대문은 조선시대 수도 서울의 사방에 세워진 주요 관문이었다.


전통 속의 숫자 4

1 조선시대 수도 서울에는 흥인지문, 돈의문, 숭례문, 숙정문이라고 이름 붙은 네 개의 큰 문이 있었어. 이를 사대문이라고 불러. 사대문은 낙산, 인왕산, 남산, 북악산이라는 네 개의 산으로 둘러싸여 있지.

2 선비의 고결함과 높은 인품을 잘 나타낸다고 해서 한국화의 주된 소재로 쓰인 네 가지 식물이 있어. 매화(봄), 난초(여름), 국화(가을), 대나무(겨울)인데 이를 사군자라 부르지.

3 조삼모사(朝三暮四), 일석이조(一石二鳥)처럼 네 글자로 된 문구를 사자성어라고 하지. 어떤 내용의 글이든 제목을 네 글자로 요약해서 표현해야 했던 한문권 산문의 전통에서 비롯한 거야.

4는 행운의 수

프랑스의 나폴레옹은 한때 포병장교로 전투에 참여했다. 그는 전투 중 우연히 네잎클로버를 발견했다. 대부분의 클로버가 잎이 3개인데 뭔가 달라 보였던 것이다. 신기한 생각에 몸을 굽히는 순간 총알이 머리 위를 스쳐 지나갔다고 한다. 네잎클로버 덕분에 목숨을 건진 셈이다. 이때부터 네잎클로버뿐 아니라 숫자 4는 행운의 상징이 됐다.

시계에서 Ⅳ 대신 ⅡⅡ로 쓰는 이유

로마 숫자에서 4는 5(Ⅴ)에서 하나를 뺀다는 뜻에서 Ⅳ로 쓴다. 그런데 시계에는 Ⅳ가 아닌 ⅡⅡ로 쓴 것이있다. 14세기 프랑스 국왕이었던 샤를 5세는 Ⅳ라는 표기가 자신의 5세에서 1을 뺀다는 점에서 불길하다고 생각했다. 그가 파리 시계탑의 Ⅳ를 ⅡⅡ로 바꾼 뒤 시계 속의 4시를 ⅡⅡ로 나타내는 경우가 생겼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숫자 4, 기 살리기 대작전 
왜 4를 싫어하나?
숫자 4의 탄생과 성장 
특성으로 살펴본 숫자 4
생활 곳곳 숫자 4의 활약
닥터 피노키오! 수학으로 거짓말을 밝혀 줘~
의뢰 1 군사작전을 해도 될까요?
의뢰 2 도박으로 날린 돈을 찾아 주세요 

의뢰 3 마술의 비밀을 밝혀 주세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0년 04월 수학동아 정보

  • 이재웅 기자

🎓️ 진로 추천

  • 역사·고고학
  • 문화인류학
  • 철학·윤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