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성의 몸이 기준이었던 분야가 우주복만은 아닙니다. 우주 환경에서 여성의 건강과 질병 등을 고려하기 시작한 건 얼마 되지 않았지요. 그 변화의 현장을 보여드립니다!

 

 

우주방사선 피해 예방법, 암컷 쥐에서 찾다?


2016년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자금을 지원받는 모든 연구가 여성과 남성을 동등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규칙을 발표했어요. 이전까지 의학 연구가 주로 남성과 수컷 동물의 몸을 기준으로 한 탓에, 안전한 줄 알았던 약물이 여성에게 부작용을 일으키는 사건이 있었기 때문이에요. 이후 우주의학 분야에도 여성을 고려하는 연구가 늘고 있어요. NASA의 계획대로 2024년 이후 여성과 남성 모두를 달과 화성으로 보내려면 우주 환경에서 여성의 몸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도 알아야 하거든요.


지난해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와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 공동연구팀은 우주방사선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암컷과 수컷 쥐를 모두 연구해 성차를 밝혔어요. 우주방사선은 초신성 폭발과 태양 활동 등으로 우주에서 쏟아지는 높은 에너지를 지닌 입자와 파동을 말해요. 이전 연구들은 쥐가 우주방사선에 노출되면 인지 능력이 떨어진다고 밝혔지만, 모두 수컷 쥐만 대상으로 한 연구였어요. 연구팀은 암컷 쥐에게도 우주방사선과 비슷한 방사선을 7분간 쏜 결과, 암컷은 전혀 그렇지 않다는 걸 밝혔지요.


원인은 미세아교세포*의 성차에 있었어요. 뇌와 척수에 있는 미세아교세포는 방사선을 쬐면 흥분하며 주변 조직에 염증을 일으켜요. 연구팀은 수컷 쥐의 미세아교세포가 암컷보다 더 흥분했다는 점을 확인했어요. 이 때문에 근처에 있는 학습과 기억을 담당하는 뇌세포 간 연결이 수컷에서만 끊어졌지요. 연구팀은 이 결과를 토대로 안전한 장기 우주 탐사를 위해 약을 개발할 수 있길 바라고 있답니다.

 

 

 

_INTERVIEW
김경재(NASA 존슨스페이스센터 인간 생리, 능력, 보호 및 활동 연구실 연구원) 

 

 

NASA 존슨스페이스센터에서 일하는 한국인 연구원이다. 전자공학을 전공해 생체 정보를 읽는 센서를 연구하다 4월부터 우주복의 생명유지장치를 개발하는 팀에서 일하고 있다.

 

Q 신형 우주복 개발에 어떤 역할을 하셨나요?


xEMU가 거의 완성되었을 때 합류했기 때문에, 주로 개선점을 알려주는 데 참여했어요. 우주인이 우주복을 입고 어떻게 팔과 다리를 움직이는지를 센서로 정확하게 측정 했지요. 이를 우주복의 움직임과 비교하면 우주복이 몸에 맞는지, 부상 위험은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있어요. 또 우주인의 생체 정보를 측정해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시스템과 우주인 운동기구 개발에도 참여했어요.

 

 Q 어떻게 NASA에서 일하시게 됐나요?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와 함께한 극한환경임무수행(NEEMO) 프로젝트가 계기였어요. 극한 환경인 바닷속에서 생활할 때 사람의 몸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센서를 이용해 관찰했어요. 연구 결과, 바닷속에서 오래 생활하면 운동 능력을 점차 잃는다는 것을 밝혔어요. NASA가 이 논문을 보고 의학적 관점과 공학적 관점을 동시에 지닌 사람을 찾는다며 저를 초청했지요.

 

 Q 전자공학자가 의학적 관점이라니, 독특해요.


처음엔 뇌졸중 환자의 보행 재활 로봇을 만드는 연구에 참여했어요. 로봇을 만드는 거니까 독특한 선택은 아니었지요. 그런데 연구팀의 물리치료사가 피험자에게 관심을 쏟으며 피험자의 입장에서 생각하려고 노력하는 걸 봤어요. 이전까지 저는 피험자가 기술 개발에 필요한 사람일 뿐이라고 생각했거든요. 이후로 사람을 중심에 두고, 사람을 이롭게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싶다고 생각해서 걸음 연구를 계속했어요. 우주인도 결국 사람이니까 여기까지 오게 됐지요. NASA에서 열심히 공부해 한국 어린이들에게도 우주기술을 알려주고 싶어요. 제 조카들도 어과동 독자인데, 이렇게 만나게 되어 기쁘답니다. 

 

 

 

용어정리

* 미세아교세포 : 뇌와 척수에 있는 세포. 신경세포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9년 22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이다솔 기자 기자

🎓️ 진로 추천

  • 의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 항공·우주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