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일은 야구왕 피칭머신을 만들어라!



크하하! 동규와 주희를 프로야구 선수로 만들어 주려고 왔다!

정말요? 어떻게요?

야구 속에 담긴 과학 원리를 찾아서 모두 익히는 거야. 그런 다음 피칭머신을 만들어서 연습 또 연습하면 돼! 그러면 류현진 선수를 뛰어넘는 야구선수가 될 거라고!

뭔가 이상해…. 왠지 엄마가 공부를 열심히 하면 성공한다는 얘기랑 비슷한 것 같은데….



1 야구 속 과학을 찾아라!

야구는 과학이다~ 라는 말 들어 봤지? 일단 108개 매듭으로 꽁꽁 묶은 야구공이 가장 과학적이지.

야구공이요? 침대가 과학이라는 말은 들어 봤어도….

어허~, 야구가 과학이라니까. 투수가 던진 야구공이 휘어지는 걸 본 적 있니?

네! 변화구요?

그래! 공 속도가 느리고 많이 회전하면 변화구가 된단다. 반대로 공 속도가 빠르고 적게 회전하면 직구가 돼지.

그런데 무거운 야구공이 어떻게 휘는 거예요?

둥근 야구공이 회전하면서 날아가면 공이 한쪽으로 휘도록 힘을 받기 때문이란다. 이것을 ‘마그누스 효과’라고 해. 공이 위아래로 회전할 경우 공의 위쪽 공기와 아래쪽 공기가 상대적으로 흐르는 속도가 달라지지. 이때 한쪽은 압력이 줄고 다른 쪽은 높아져. 자연적으로 공기 압력이 센 쪽에서 약한 쪽으로 공을 밀어 날아가는 공이 휘는 거란다. 이런 현상을 베르누이의 법칙이라고 한단다.

아하~. 그런데 친구랑 야구하다 보면 공을 잘 던지기가 쉽지 않아요! 그러다 보니 투수는 커녕 타격 연습도 어렵구요.

사람 대신 공을 자동으로 던져 주는 기계를 본 적이 있니? 피칭머신이라고 하는데, 타자가 타격 연습을 할 때 사용한단다. 반대 방향으로 빠르게 도는 두 바퀴가 사이에 놓인 공을 앞으로 강하게 날려 보낸단다. 이걸 이용하면 될 거야.



2 피칭머신 만들기

야구공에 엄청난 과학이 숨어 있다는 사실 잘 알겠지?
이제 피칭머신을 직접 만들어 보자.

3 바퀴 간격을 조절해 종이비행기 날리기

섭섭박사님. 저는 공 말고 다른 걸 날리고 싶은데요.

물론 가능하지! 공을 잘 날리려면 바퀴 간격이 잘 맞아야 한다는 사실 알고 있지? 바퀴 간격을 좁히면 종이비행기를 날릴 수 있다는 말씀!

4 공이 날아가는 각도와 거리

섭섭박사님! 앞 받침대 높이를 올리니까, 공이 날아가는 거리가 달라져요. 왜 그렇죠?

타자가 공을 쳤을 때, 공이 땅과 이루는 각도에 따라서 날아가는 거리가 달라진단다. 45˚ 각도로 던지거나 치면 가장 멀리 날아가지. 실제는 공기 저항이 있어서 45˚ 보다는 조금 작은 각도로 던지거나 쳐야 멀리 날아간단다.

엇, 공이 휘는 것 같아요! 피칭머신이 변화구를 던지는 건가요?

아니란다. 스폰지 공이라서 공기 저항을 많이 받기 때문이란다.

그럼, 피칭머신으로 변화구를 못 던지나요?

두 바퀴의 속도를 다르게 하면 빠른 쪽으로 공이 휘어 변화구가 만들 수 있단다. 여기에 바퀴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하면 공을 더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지.

우와~. 피칭머신으로 못하는 게 없군요.

이제 피칭머신으로 연습해서 훌륭한 프로야구 선수가 되는 거야!


참여독자 : 유동규(전주 북일초 4), 유주희(전주 북일초 3)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3년 09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박응서 기자
  • 사진

    박응서 기자

🎓️ 진로 추천

  • 물리학
  • 기계공학
  • 컴퓨터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