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BRIDGE 로제타, 실패해도 괜찮아

필래는 태양광배터리 충전에 실패해 11월 14일 끝내 연락이 끊겼다. 10년의 기다림은 아쉬움으로 막을 내렸다. 위로가 될지 모르겠지만, 사실 우주탐사 역사엔 실패가 흔한 일이다. 주목받지 못하고 사라진 탐사선들을 기리며, 실패의 역사를 되짚어봤다

탐사에 가장 많이 실패한 나라는?

  1. 1위 소련 115회 탐사중 60회 실패 실패확률 52%
  2. 2위 미국 153회 탐사중 27회 실패 실패확률 18%
  3. 3위 일본 13회 탐사중 8회 실패 실패확률 62%

탐사 목적지별 실패

태양-지구 라그랑주점 - 17회성공 1회실패

파이오니어-E 미국, 1969.8.27 라그랑주점 진입실패

수성- 3회성공 실패없음

 

금성 - 38회성공 2회부분성공 21회실패

플래닛-C 일본, 2010.12.7 금성궤도 진입실패

달 - 65회성공 8회부분성공 41회실패

파이오니어 0호 미국, 1958.8.17 달궤도 진입실패 아폴로 13호 미국, 1970.4.11 달로 향하던 도중 산소 탱크 폭발, 지구로 귀환

소행성 - 12회성공 1회부분성공 3회실패

클레멘타인 미국, 1994 ‘1620 지오그래포스’ 소행성을 향해 가다 기계고장

화성 - 21회성공 4회부분성공 29회실패

마스1M 1호 소련, 1960.10.10 발사실패 포보스 그룬트 러시아, 2011.11.8 중국화성탐사선 잉훠1호에 실려가다가 실종

“휴스턴, 문제가 발생했다” 1970년 4월 13일, 지구에서 32만1860km 떨어진 우주공간에서 긴급신호가 울려 퍼졌다. 달을 향해 가던 아폴로 13호의 산소탱크가 폭발한 것이다. 승무원 3명은 달 착륙을 포기하고 지구복귀를 선택했다. 하지만 산소와 전력이 충분하지 않았다. 아폴로 13호는 달의 중력도움을 받고, 수동조종으로 궤도수정을 해가며 천신만고 끝에 지구로 돌아오게 된다.

영화로도 만들어진 아폴로 13호의 실패담은 우주 탐사선의 수많은 실패사례 중 하나일 뿐이다. 궤도를 이탈해 우주미아가 된 탐사선, 행성착륙에 실패해 폭발한 탐사선, 아예 대기권을 벗어나보지도 못하고 발사대에서 산화한 탐사선까지…, 우리가 기억하는 ‘성공의 역사’ 뒷페이지에는 주목받지 못하고 조용히 사그라진 탐사선들이 빼곡하다.

이런 실패의 역사가 있었기에 성공도 가능했다. 1958년 시작된 달 탐사는 1959년 ‘루나 2호’가 달 표면에 처음 착륙하기까지 실패 8번, 부분성공(부분실패) 2번이라는 성장통을 겪었다. 그러고도 1969년 사람이 달에 첫 발을 디디기까지 28번 더 실패했다. 수많은 실패를 견디며 달 탐사기술은 성장했다. 1971년 루나 18호가 마지막으로 실패(달 표면에 충돌)한 이후 지금까지 달 탐사선은 한 번도 임무에 실패하지 않았다.

우리도 나로호 발사에 두 번이나 실패하며 ‘우주 탐사에는 성공보다 실패가 흔하다’는 걸 조금 깨닫게 됐다. 그래도 우리는 3번 만에 성공했지만, 초기에 화성탐사를 시도하던 나라들은 지독한 실패를 맛봐야했다.

1960년부터 1999년까지 42건의 임무 중 성공한 게 16건밖에 안 된다. 착륙도 아니고 궤도진입인데 말이다. 오죽하면 “화성에 사는 거대 괴물이 탐사선을 잡아먹는다”는 ‘웃픈 농담’도 회자됐을까(1997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

첫 시도에서 혜성표면에 착륙한 로제타 탐사선은 매우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수한 편이다. 필래가 제대로 가동되지 못해 부분적으로는 ‘실패’로 불릴 수도 있겠지만, 오늘의 작은 실패는 혜성탐사의 긴 역사에서 보면 소중한 경험인 셈이다. 그렇게 실패를 거듭하던 화성탐사도 2000년 이후에는 12번의 시도 중 9번이나 성공했다. 이제 인류는 혜성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지평을 넓혔다. 머지않아 ‘제2의 로제타’가 나올 것이다. 늘 그랬듯이, 우린 답을 찾을 것이므로.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스페이스 임파서블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
BRIDGE. 로제타, 실패해도 괜찮아
PART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4년 12월 과학동아 정보

  • 변지민 기자

🎓️ 진로 추천

  • 천문학
  • 항공·우주공학
  • 지구과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