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동TV] 수학으로 따지다! 미스터리 외계인

 

 

여러분 안녕하세요. 수동TV의 수따(수학으로 따지기)입니다. 5월 21일! 소행성 1997 BQ가 지구 근처를 지나간다는 소식에 밤잠을 설친 분들 많으시죠? 저 역시 자는 둥 마는 둥 뜬눈으로 지새웠습니다. 그런데 여러분! 그날 제가 아무래도 외계인을 본 것 같습니다. 
잠을 못 자 맑은 정신은 아니었지만 분명 베란다 너머로 외계인을 본 것 같단 말이죠. 
헛것을 본 거라고요? 그래서 이참에 외계인의 존재 여부도 밝히고 직접 찾아보려고 합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수동TV] 수학으로 따지다! 미스터리 외계인

Part1.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

Part2.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

Part3.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3. 외계인이 우리를 찾게 만드려면?

 

 

★ 도움

문홍규(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연구본부 책임연구원), 이충욱(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책임연구원), 사라 시거(MIT 행성과학물리학과 교수), 임웅(연세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  참고 폴 데이비스 ‘침묵하는 우주’, 이언 스튜어트 ‘우주를 계산하다’, 닉 레인 외 19명 ‘지구 밖 생명을 묻는다’, Tom Westby, Christopher J. Conselice ‘The Astrobiological Copernican Weak and Strong Limits for Intelligent Life’, A. Frank, Jonathan Carroll-Nellenback ‘The Anthropocene Generalized : Evolution of Exo Civilizations and Their Planetary Feedback’, Peter S. Behroozi, Molly Peeples ‘On The History and Future of Cosmic Planet Formation’  

2020년 07월 수학동아 정보

  • 김미래 기자 기자
  • 일러스트

    안병현
  • 디자인

    이하연

🎓️ 진로 추천

  • 천문학
  • 수학
  • 물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