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info. 파랑을 나타내는 키워드 7



우리 눈에 보이는 빛은 파장이 380~780nm(나노미터, 1nm=10억 분의 1m)인 가시광선이다. 가시광선에는 셀 수 없이 많은 색깔이 들어 있다. 우리 눈이 구분할 수 있는 색깔만 1만~100만 개나 된다. 이렇게 수많은 색깔 중에서 파랑은 어떻게 나타낼 수 있을까?

빛의 삼원색 중 하나인 B


파랑(B)은 빨강(R)과 초록(G)과 함께 빛의 삼원색이다. 이 세 가지를 0~100%의 비율로 겹치면 가시광선에 속한 모든 빛깔을 만들 수 있다. 삼원색을 모두 합치면 하양이 된다. 국제조명위원회(CIE)에서는 빛깔을 나타낼 때 삼원색을 기본색으로 삼는다.

우리 눈에 있는 원추세포는 세 가지로, 삼원색을 각각 하나씩 담당한다. 어느 색깔의 빛이 얼마만큼 자극하는지 비율에 따라 1만 개~100만 개의 여러 색깔로 인지한다.



파랑은 차가움

파랑을 보면 차가움을 느끼는 이유는 색깔에 따라 민감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색상을 구별하는 원추세포는 노란색이나 초록색 계열을 민감하게 구분한다. 하지만 명암을 구별하는 간상세포는 파란색 파장의 빛에 훨씬 더 예민하다. 그래서 어두컴컴한 곳에서는 파란색 계통인 사물을 알아보기가 더 쉽다. 즉 어둡고 음침한 곳에서는 파란빛이 서린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다.

16진법으로 나타낸 RGB 색상코드 #0000FF

빛의 삼원색인 빨강(R)과 초록(G), 파랑(B)이 각각 몇 %씩 섞였는지 16진법 숫자로 나타내 색을 표현한다. 각 코드는 #과 여섯 자리 숫자로 나타내도록 전 세계가 약속했다. 여섯 자리 숫자는 두 자리씩 각각 R과 G, B의 비율을 나타낸다.

파랑은 #0000FF로 나타낸다. R이 0, G가 0, B가 FF만큼 들었다는 뜻이다. 16진법 FF를 10진법으로 바꾸면 255다. 같은 원리로 빨간빛과 약간의 초록빛을 섞은 노랑은 색상코드가 #FFD400이다.
 

 
가시광선 중 파장이 약 470nm

가시광선은 파장이 긴 것부터 짧은 것까지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 즉 무지개에 나타난 스펙트럼 순서대로 보인다. 이 중 파랑은 파장이 약 470nm인 빛이다.

CIE 색도좌표에서 (0.140, 0.080)

빛은 서로 겹칠 수는 있어도, 특정한 색깔의 빛은 빼기가 어렵다. 그래서 국제조명위원회(CIE)는 빛의 삼원색인 RGB대신 자체적으로 가상 삼원색(XYZ)을 만들었다. X와 Y, Z를 각기 다른 비율로 합치는 것만으로도 가시광선에 속하는 모든 색깔을 만들 수 있으며, XYZ를 모두 섞으면 하양이 된다(X+Y+Z=1). X와 Y가 뭔지 알면 Z도 당연히 알 수 있어서, Z를 제외하고 X와 Y로 2차원 좌표를 만들었다. 반타원 모양으로 펼쳐진 그래프 안에는 가시광선의 모든 색깔이 다 들어간다.
 

 

L*a*b* 표색계에서 -b

망막에는 흑백을 인지하는 간상세포와, 삼원색을 인지하는 원추세포가 있다. 간상세포에서는 빛의 세기에 따라 밝고 어두운 정도를 감지한다(L*). 원추세포는 빨강과 초록, 파랑이 각각 자극하는 비율에 따라 색을 구별하는데, 이 정보가 두 가지 값으로 바뀐다. RG축(a*)에 따라 빨강과 초록, BY축(b*)에 따라 노랑과 파랑을 구별하는 것이다.

이 세 값을 구 모양의 스펙트럼으로 나타낼 수 있다. 현재 조명이나 스크린 등을 개발할 때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기준이다.
 

색온도 25,000K

색온도는 빨강보다 파랑이 훨씬 더 뜨겁다. 하지만 일상에서는 파란빛을 낼 만큼 뜨거운 물체를 볼 일이 거의 없다. 뜨거운 파랑을 보고 싶다면 우주로 가야 한다. 해지기 전의 붉은 노을은 촛불과 같은 약 2200K이며, 한낮에 뜬 노란 태양은 약 5800K, 가장 밝은 푸른 별인 시리우스는 약 1만K다. 아주 뜨거운 푸른빛의 색온도는 2만 5000K이나 된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6년 08월 수학동아 정보

  • 이정아 기자
  • 도움

    전창림 홍익대 바이오화학공학과 교수
  • 기타

    [도서] 미셸 파스투로의 <블루, 색의 역사>, 도서 Joann Eckstut와 Arielle Eckstut의 The Secret Language of Color 외

🎓️ 진로 추천

  • 물리학
  • 화학·화학공학
  • 광학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