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위를 맞아 오랜만에 친척들이 모였어요. 여기저기 낯선 얼굴이 많았지요. 반가운 마음에 어른들께 인사를 했어요. 그런데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 떠오르지 않았어요. 한가위에 모인 친척들, 나와 어떤 사이일까요? 이번 기회에 아버지께 촌수 계산하는 방법을 배워야겠어요.
가장 가까운 사이, 1촌
우리 승현이가 촌수를 몰라 인사를 하면서 어떤 친척인지 궁금했구나. 아빠가 촌수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 줘야겠네. 승현이도 미니홈피가 있니? 싸이월드에서 1촌은 나와 친한 특별한 사이를 부르는 말이지. 실제로 촌수를 계산할 때도 1촌은 가장 가까운 사이를 뜻해.
부모와 자녀 사이를 1촌이라고 하거든.
촌수는 친척 사이에서 가깝고 먼 정도를 숫자로 나타내는 방법이야. 촌수의 촌은 한자로 마디 촌(寸)을 써. 마디의 개수가 곧 촌수가 돼.
촌수가 작으면 나와 가깝고, 크면 먼 사이가 되는 거야. 몇 촌까지 친척이라고 할까? 우리나라 법에서는 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 그리고 결혼한 배우자까지 친척이라고 해. 혈족은 혈연관계가 있는 친척이고, 인척은 결혼을 통해 친척이 된 경우야. 이모부나 고모부가 인척의 대표적인 예라고 볼 수 있어.
부모와 자녀 사이가 1촌이라면 형제끼리는 몇 촌일까? 촌수를 따질 때 삼각형을 그리면 쉽게 계산할 수 있어. 삼각형을 그린 뒤 두 변의 촌수를 이용해서 나머지 변의 촌수를 구하는 방법이야. 두 변의 촌수를 더하면 나머지 변의 촌수가 돼. 형제는 같은 부모에서 태어난 사람이니까 각각 부모와 1촌이지. 삼각형의 두변이 1촌이니까 나머지 변은 1과 1을 더해서 2촌. 형제끼리는 2촌인 거야.
이번에는 승현이와 사촌인 민수와 어떻게 사촌 사이가 되는지 계산해 보자. 아빠와 승현이, 그리고 고모와 민수 이렇게 네 명을 이으면 사각형이 그려져. 삼각형을 이용하기 위해 사각형을 두 개의 삼각형으로 나누자. 그런 다음 이미 알고 있는 촌수를 표시해.
아빠랑 승현이가 1촌, 아빠랑 아빠의 여동생인 네 고모는 2촌이니까 승현이랑 고모는 3촌이 되는구나. 이제 승현이와 고모, 그리고 민수로 이뤄진 삼각형을 봐. 민수와 고모는 1촌이니까 승현이와 민수 사이는 1+3=4로 사(4)촌이 돼.
촌수가 커지면 더 복잡해지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어. 촌수가 커지면 변이 여러 개인 다각형이 될 거야. 그렇지만 어떤 다각형이더라도 여러 개의 삼각형으로 나눌 수 있어.
다각형을 삼각형으로 나눈 뒤 각 점과 점 사이의 관계를 촌수로 표현하면 문제없지. 이때 기본이 되는 1촌을 알면 삼각형으로 얼마든지 촌수를 구할 수 있어.
그런데 한 가지, 조심해야 할 것이 있단다. 증조할아버지와 승현이는 몇 촌일까? 아빠랑 승현이가 1촌, 아빠랑 할아버지가 1촌, 할아버지와 증조할아버지가 1촌이니까 1+1+1=3이 돼 3촌일까? 아버지의 형제인 고모나 작은 아버지와 3촌 사이라고 했는데,증조할아버지와도 3촌이 된다니 뭔가 이상하지 않니?
여기서 직계와 방계를 설명해 줘야겠다. 가계도를 그렸을 때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처럼 수직 관계에 있는 사람들을 직계라고 해. 그리고 형제관계처럼 수평 위치에 있는 사람들을 방계라고 불러. 직계에서는 촌수를 말하지 않기로 했어. 왜냐하면 만약 직계에서도 촌수를 따지면 9대 할아버지는 승현이와 9촌이 돼 법률적으로 남이 될 테니까.
5촌형제와 6촌아저씨는 없다!
이제 삼각형을 그려서 촌수를 계산할 수 있게 됐으니 가계도를 보면서 촌수에 숨은 또다른 이야기를 해 보자꾸나. 아빠가 촌수 이야기를 하려고 이번 한가위에 모인 우리 가족과 친척을 그림으로 그려 봤단다. 한눈에 알기 쉽게 말이야. 세로는 부모와 자녀 사이를 나타내고, 가로는 형제 관계를 나타낸다는 것쯤은 이미 알고 있겠지.
가계도를 살펴보면 촌수 관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 뭔가 규칙이 있는 걸 알 수 있어. 먼저 가로에 있는 사람들을 볼까?
승현이를 기준으로 가로에 있는 사람들은 2촌형제, 4촌형제, 6촌형제, 8촌형제로 촌수의 숫자가 모두 짝수야. 형제의 촌수는 모두 짝수가 된다는 얘기지. 같은 아버지를 둔 형제는 2촌, 같은 할아버지를 둔 형제는 4촌, 같은 증조할아버지를 둔 형제는 6촌으로 형제 촌수의 숫자가 2씩 커질 때마다 직계가 하나씩 올라가는 규칙이 있어. 그러니까 형제 중에 3촌, 5촌, 7촌과 같은 홀수 숫자의 형제는 있을 수 없지.
그렇다면 아빠랑 같은 가로 줄에 있는 사람들은 어떨까? 가장 가까이에 있는 아빠 여동생은 네게 고모로, 승현이와 3촌 사이였어. 이제 아빠를 기준으로 가로 줄에 있는 사람들은 승현이랑 촌수가 어떤지 보자.
이번에는 3촌, 5촌, 7촌으로 촌수가 모두 홀수야. 아빠랑 형제 관계에 있는 사람은 승현이가 아저씨로 부를 수 있는데, 아저씨는 모두 촌수가 홀수지. 같은 할아버지를 둔 3촌,같은 증조할아버지를 둔 5촌, 같은 고조할아버지를 둔 7촌으로 3부터 2씩 커지는 규칙이있어. 그러니까 6촌아저씨나 8촌아저씨는 있을 수 없는 거야.
촌수는 멀고 가까운 정도를 나타내는 숫자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종종 촌수와 부르는 호칭을 헷갈리기도 해. 관계를 나타내는 숫자인 촌수를 부르는 말로 쓰는 경우지. 가장 대표적인 예가 바로 삼촌이야. 많은 사람들이 아버지나 어머니의 남자 형제를 삼촌이라고 부르는데 잘못된 표현이거든. 삼촌이라고 부르는 것은 마치 아버지에게 1촌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아. 아버지나 어머니의 위 형제는 큰아버지 또는 백부로, 동생은 작은아버지또는 숙부로 불러야 해.
다각형에 삼각형은 몇 개?
사각형은 삼각형 2개로, 오각형은 삼각형 3개로 나눌 수 있다. 사각형부터 변이 하나씩 늘어날 때마다 삼각형도 하나씩 늘어난다. 그러므로 n각형은 삼각형 n-2개로 나눌 수 있다.
✚우리 서로 친척이에요~!
우리가 아는 연예인 중에도 친척이거나 가족 사이가 많다. 예능프로그램 ‘1박 2일’에 나오는 연예인 은지원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5촌이다. 또 이수만은 소녀시대의 써니와 3촌으로 서로 가까운 친척 사이다. 이 밖에도 f(x)의 크리스탈과 소녀시대의 제시카는 친자매 사이로 2촌이다.
다른 나라에도 촌수법이 있다.
로마 촌수법, 교회법 촌수법, 유럽의 방계 촌수법이 있다. 로마 촌수법은 우리나라 촌수법과 계산법이 같다. 교회법 촌수는 나와 상대방의 공동선조까지 각각 촌수를 계산한 뒤, 이 중 숫자가 많은 것을 선택한다. 반대로 유럽의 방계 촌수법은 각각의 촌수를 계산한 뒤, 이 중 숫자가 적은 것을 택한다. 현재 외국의 촌수법은 법률을 정할 때 활용하는 정도일 뿐 일반 사람들은 거의 쓰지 않는 편이다. 교회법 촌수로는 4촌이고, 방계 촌수법으로는 3촌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수학, 한가위만 같아라
PART 1 너랑 나랑 얼마나 가까울까?
PART 2 아름다운 한복
PART 3 한가위의 달이 대보름달일까?
PART 4 집에 오는 길은 힘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