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957년, 구소련에서 첫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하던 때만 해도 인류는 우주에 무언가 쏘아 올리기만 해도 환호했어요. 하지만 한 해에도 천 개가 넘는 인공위성이 발사되는 지금, 이제 인류가 쏘아 올린 우주물체는 고스란히 수많은 우주 쓰레기가 되어 지상과 우주에서 모두에게 위협적인 존재가 되었죠. 그래서 우주 쓰레기 문제를 해결해 인류와 우주의 평화를 지키려는 사람들이 등장했습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지구 너무 화성까지?! 우주 쓰레기

part1. 내가 우주쓰레기와 충돌할 확률은?

part2. 달과 화성에도 우주 쓰레기가 늘어난다

Part3. 전 세계가 함께 추적한다! 우주 쓰레기 감시시스템

Part4. 지구 궤도에서 바로 재활용?! 우주 쓰레기 청소부

 

 

 

2023년 04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이병구 기자 기자
  • 도움

    최은정(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연구실 실장), 유지웅(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연구실 선임연구원), 조중현(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 책임연구원), 정동민(한국천문연구원 정책부 대국민홍보팀), 강경인(KAIST 인공위성연구소 책임연구원), 이성문(우주로테크 대표)
  • 참고자료

    우주 폐기물(쓰레기) 제거 방식에 대한 고찰(2016, 최준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일러스트

    박장규
  • 디자인

    최은영

🎓️ 진로 추천

  • 항공·우주공학
  • 물리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