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획] '마르스'를 향한 아르테미스의 기나긴 여정

아르테미스 미션은 2030년 이후 화성까지 예정된 장기 프로젝트예요. 과연 인류는 달을 향한 여정을 무사히 마치고 화성까지 갈 수 있을까요?

 

 

NASA는 현재 아르테미스 미션의 3단계까지 구체적인 계획을 밝혔습니다. 2024년 5월로 예정된 ‘아르테미스2’에서는 아르테미스1과 과정이 같지만, 마네킹 대신에 우주인이 직접 탑승하여 달로 향합니다. 4명의 우주인이 오리온호에 올라타 달 궤도에서 아르테미스2 미션을 수행할 예정이에요.


이어 NASA는 유럽우주국(ESA), 캐나다, 일본과 협업하여 아르테미스 미션의 일환으로 달 궤도 정거장 ‘루나 게이트웨이’를 건설할 계획입니다. 지구 궤도를 도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이 2030년경 퇴역을 앞두고 있는데, 달 탐사를 계속 하려면 달 궤도 우주정거장이 필요하기 때문이에요. 루나 게이트웨이는 이후에 있을 달 착륙 및 심우주 탐사의 발판으로 이용하게 됩니다. 


‘아르테미스3’에선 드디어 우주인이 달에 착륙합니다. 2025년 4명의 우주인이 오리온호를 타고 루나 게이트웨이의 거주 모듈에 도달하면 그중 2명이 달 착륙선 ‘스타쉽’에 탑승합니다. 이때 여성 우주인 1명이 남성 우주인 1명과 함께 달에 갈 예정이에요. NASA는 아르테미스3 이후에도 유인 화성 탐사를 위해 계속해서 달에 우주인을 보내고 루나 게이트웨이 모듈을 보강할 계획이랍니다.

 

 

 

●인터뷰

전인수(NASA 제트추진연구소 우주환경그룹장)

“우주 탐사는 인간의 본성이자 의무지요.”

 

 

 Q한동안 중단되었던 달 탐사가 다시 시작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NASA의 최종 목표는 유인 화성 탐사예요. 하지만 화성까지 직접 가는 것은 기술적으로 아직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들지요. 그래서 전초 기지로 달 탐사를 다시 시작했습니다. 물론 달 탐사 자체도 큰 의미가 있습니다. 달에 대해 밝혀지지 않은 것이 아직도 많고 지구에서 시도하는 원격 측정에도 한계가 있으니까요. 달에서 데이터들을 직접 수집해 분석하면 심우주 탐사에 많은 도움이 될 거예요.

 

 

 Q달 탐사 이후에 유인 화성 탐사는 언제쯤 가능할까요?


며칠만에 갈 수 있는 가까운 달과 달리, 화성은 가는 데만 6개월 이상 걸립니다. 또한 신체에 영향을 주는 우주 방사선 등 걸림돌이 여전히 많이 남아 있죠. 이 때문에 NASA는 많은 연구를 하고 있어요. ‘언제쯤 화성 유인 탐사가 가능할까’라는 물음에 대해 NASA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시기는 없지만, 지금부터 30년 안에는 가능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어린이 독자들이 미래에 유인 화성 탐사의 주역이 되지 않을까요?

 

 

 Q인류가 우주 탐사에 끝없이 도전하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우주 탐사는 인류의 궁극적인 호기심에 대한 실마리를 추구하는 학문입니다. 현재 우주 탐사에 대한 우리의 호기심은 절정에 있지요. 우주 탐사는 천문학적인 비용과 시간이 들어요. 그럼에도 우주의 기원을 찾으려는 열망으로 인류는 우주를 향해 끝없는 도전을 하고 있답니다. 아폴로 미션으로 달에 도달했던 우주인 마이클 콜린스는 우주 탐사의 이유에 대해 “새로움을 추구하고 미지의 세계를 개척하려는 건 인간의 본성이자 의무”라고 답했지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2년 05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진로 추천

    • 항공·우주공학
    • 천문학
    • 물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