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황색망사먼지의 우주여권

✚이름  블로비 완 케노비
            영화 <;스타워즈>;에 등장하는 은하공화국 소속 등장인물 ‘오비완 케노비(사진)’의 이름을 땄다. 이렇게 이름을 지은 이유에 대해 두슈투어 연구책임자는 “제가 스타워즈를 좋아하거든요!”라고 답했다.

 


✚계     아메바류
            두슈투어 연구책임자는 “변형균류가 아메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분자 데이터가 밝혀져 지금은 아메바류로 분류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국내 균류 전문가인 전 우석대학교 대체의학과 조덕현 교수는 “아메바와 달리 변형균류는 포자 번식을 해 균계라고 보는 의견도 있다”고 말했다.
✚강     변형균강
✚종     피사룸 폴리케팔룸(Physarum polycephalum)
✚색깔  노란색
✚크기  무제한
            영양분이 있는 한 지름이 수 미터 이상 성장할 수 있다.

 

 


✚나이  만 32세(1989년생)
            이번에 ISS로 간 개체는 1989년에 태어나 과학자들에게 ‘LU352’라고 이름이 붙여진 생물이다. 황색망사먼지의 수명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두슈투어 연구책임자는 “우리가 키우는 황색망사먼지 중 가장 나이가 많은 건 70살이며, 아직 정정하다”고 말했다.
✚성별  MAT:A2-B3/FUS:A1-B1-C1, AXE
            황색망사먼지의 성별은 암컷과 수컷으로 나뉘지 않는다. 황색망사먼지가 교배에 성공하려면 교배에 관여하는 유전자끼리 조합이 맞아야 하는데, 지금까지 발견된 교배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약 720개로 밝혀졌다. 실제로는 이보다 더 많을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황색망사먼지의 성별은 720개 이상이라고 일컬어진다. 
✚특징  굳센 생존력, 스피드
            여러 조각으로 잘려도 생존한다. 황색망사먼지 속 핵이 여러 유전물질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이 물질들로 빠르게 스스로를 치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팔과 다리가 없지만 자유자재로 몸을 넓히며 시간당 최대 4cm 속도로 먹이를 찾아 이동한다.
✚주의  탈출의 왕
            속도가 빠른 만큼 실험 도구에서 쉽게 탈출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색깔은 노랗고, 모양은 스크램블 에그처럼 아무렇게나 생겼으며, 촉감은 슬라임처럼 끈적한 생명체. 지구의 생명체라고는 믿기 어려운 ‘황색망사먼지’를 여러분에게 소개합니다!

 

블롭의 ISS행은 외계생명체가 고향으로 가는 꼴?!


“놈이 지성이 있었다면, 놈을 설득할 수 있었다. 놈이 눈이 있었다면, 놈을 마주볼 수 있었다. 놈이 형체가 있었다면, 놈을 쏠 수 있었다.”
1988년에 나온 SF영화 <;우주생명체 블롭>;은 ‘블롭’이라 이름 붙인 우주생명체의 특징을 이렇게 설명합니다. 영화에서 별명을 얻은 황색망사먼지는 영화 속 괴상망측한 우주생명체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뇌와 눈이 없는 단세포 생물이면서 형체가 계속 변하는 ‘변형균류’에 속하지요. 


황색망사먼지가 속한 변형균류는 생물학자들의 골치를 썩이는 생물입니다. 도대체 어느 생물군으로 분류해야 할지 아리송한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죠. 변형균류는 자신의 체세포를 일부 떼어내어 생식세포로 만드는 ‘포자생식’을 합니다. 이 때문에 오랫동안 버섯과 같이 균계로 분류돼 왔지요. 그러다 먹이를 세포 안으로 끌어와 소화시키는 ‘식균작용’을 한다는 게 밝혀지면서 아메바와 같은 원생생물계로 분류하는 학자가 많아졌습니다.

 

 


이처럼 괴상한 생명체 황색망사먼지가 8월 10일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향했습니다. 실험을 총괄하는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의 오드리 두슈투어 연구책임자는 “외계생명체가 다시 우주로 돌아가는 꼴”이라고 평했지요. 황색망사먼지는 ISS에 필요한 식품 및 과학장비와 함께 우주선 시그니스 호에 올랐습니다. 프랑스 우주비행사 토마스 페스케는 10월 경 휴면 중인 황색망사먼지에게 물을 뿌려 깨워 실험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1년 18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화학·화학공학
    • 항공·우주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