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도 여성 과학자가 될 수 있을까?

다들 멋진 연구를 하시는구나! 나도 언젠가는 저렇게 멋진 여성 과학자가 될 수
있을까? 나처럼 고민하는 친구들을 위해 많은 사람이 여성 과학자를 돕고 있다고 해!

여성 과학자, 점점 늘어나고 있어!
여러분이 종이에 과학자를 그린다고 상상해 보세요. 완성된 과학자는 어떤 모습인가요? 남자인가요, 여자인가요? 피부색은 어떤가요? 이 실험은 ‘과학자를 그리다’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유명한 연구예요. 데이빗 웨이드 챔버스라는 과학사학자가 어린이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자에 대한 고정관념을 알아보기 위해 처음 시작했지요. 
올해 초,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의 심리학 박사과정 연구원인 데이비드 밀러는 지난 50년간 2만여 명의 아이들이 그린 과학자의 그림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과학자에 대한 고정관념이 크게 바뀌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1960년대에는 어린이들이 그린 과학자 중 0.6%만 여성이었어요. 그런데 최근에는 여성 과학자가 28%로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지요. ‘과학자는 남자’라는 고정관념이 조금씩 깨지고 있는 거예요.
실제로 최근 과학 분야의 여성 비율은 많이 증가했어요. 미국의 경우, 2017년에는 생명과학 분야 여학생의 비율이 54.4%로 남학생을 넘어서기도 했죠. 우리나라에서도 과학과 공학을 공부하는 여학생의 비율이 꾸준히 늘어 2016년에는 전체의 28.7%까지 늘어났답니다.
하지만 과학을 공부하는 여성들은 아직도 많은 어려움을 극복해야 해요. 우리나라에는 이런 여성을 돕는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WISET)라는 단체가 있어요. 이곳에서는 과학자가 되고 싶은 여학생들을 위해 강연을 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는 여성 과학자를 소개하고 알리기도 해요. 출산이나 육아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 과학자들을 도와주는 일도 하고 있답니다.

●인터뷰 “위키피디아에 여성 과학자를 알리는 글을 쓰고 있어요!”

_제스 웨이드(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박사후연구원)

정보를 찾을 때 위키피디아를 쓴 적이 있나요? 그런데 위키에 여성을 다루는 글이 20%도 안된다고 해요. 심지어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도나 스트릭랜드 교수도 노벨상 수상 직전까지 소개 페이지가 비어있었지요. 위키에 여성 과학자에 대한 글을 올리고 있는 제스 웨이드 박사님의 이야기를 들어 봤어요!


Q안녕하세요! 자기소개를 부탁드려요!
 저는 영국의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물리학과의 고분자 전자공학 센터에서 연구하는 제스 웨이드 박사예요. 저는 이곳에서 유기화합물을 이용해 빛을 내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개발하고 있답니다.

Q위키피디아에 여성 과학자에 대한 글을 쓰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영어 위키피디아의 인물 항목 중 여성을 다루는 글은 겨우 17.7%에 불과해요. 세상 사람의 절반은 여자인데 말이죠! 이 상황은 과학계에서도 마찬가지예요. 대단한 연구를 했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여성 과학자가 많아요. 그래서 저는 위키피디아에 이런 여성 과학자들을 소개하는 글을 쓰기 시작했어요. 2018년 1월에 시작해서 12월 31일까지 하루에 한 명씩 올리기로 마음먹었지요. 실제로는 하루에 한 명 이상을 쓸 때도 있어서, 오늘(10월 12일)까지 349명에 관한 이야기를 썼답니다.

Q여성 과학자는 어떻게 찾으시나요?
 우선 과학상 수상자나 대학교의 교수 목록을 찾아봐요. 멋진 연구에 관한 이야기를 들으면 구글에 검색해보기도 하죠. 여성이나 유색 인종의 경우 보통은 위키피디아에 설명이 실려있지 않은 경우가 많답니다.
제가 하는 일이 알려진 이후로는 많은 사람이 제게 이메일로 여성 과학자를 추천해주었어요. 지금은 써야 할 사람이 67명이나 밀려 있네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8년 21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진로 추천

    • 물리학
    • 화학·화학공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