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실 내가 가장 궁금해하는 소문은 따로있어. 이곳 DMZ가 생태학적으로 엄청난 가치가 있다는 거야. 이 소문도 정말일까?

 

 

 

65년 간 인간 없는 세상, DMZ


한반도에는 65년 간 미스터리로 남아있는 지역이 있어요. 바로 폭 4km, 길이 248km인 비무장지대(DMZ)지요. 이곳은 남한과 북한이 전쟁을 멈추기로 하는 ‘정전협정’을 맺으면서 생긴 지역으로, 휴전선에서 남북으로 2km까지 군사시설을 배치하지 않기로 약속한 곳이지요. 이에 따라 1953년 9월 6일, 마지막 남북 포로교환이 이루어진 뒤부터 DMZ는 철책에 가려졌고, 인간 없는 세상으로 남아 왔답니다.

 

덕분에 DMZ 지역에서는 다양한 생물들이 인간의 간섭 없이 65년을 살아왔어요. 환경부가 2017년까지 DMZ와 맞닿아 있는 ‘민간인통제구역’을 조사한 결과, 이 근처엔 5978종의 생물이 살고 있었답니다. 이 숫자는 한반도 생물종의 약 24%, 우리나라 멸종위기 생물의 41%에 해당해요. DMZ가 우리나라 면적의 1.6%에 불과한 좁은 지역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나게 많은 수지요. 이에 우리나라 통일부는 5월 2일, DMZ 지역을 세계생태평화공원으로 만들 준비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으로 통일을 준비한다! 반달가슴곰의 팩트체크

[팩트체크 1] 남북, 65년만에 평화로운 분위기?!

[팩트체크 2] 한반도에서 핵무기가 사라진다?!

[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

[팩트체크 4] DMZ, 멸종위기종의 천국

[팩트체크 5] DMZ, 평화지대로 거듭나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8년 12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신수빈 기자 sbshin@donga.com
  • 도움

    신희영(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통일의학센터 소장), 서범경(한국원자력연구원 해체기술연구부장), 서형수(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연구원), 유대혁(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시간센터장), Liana Geidezis(BUND)
  • 기타

    [일러스트] 박장규, 이창우, 오승만

🎓️ 진로 추천

  • 환경학·환경공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 도시·지역·지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