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잠자는 스마트폰을 깨워라!
도시광산 산업이 성공하려면 폐전자제품을 수거하는 것이 꼭 필요해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폐전자제품이 집 안에 방치되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아 회수되는 양이 적지요. 특히 우리나라의 휴대전화 회수율은 평균 4.2%로, 전세계 휴대전화 회수율인 16%보다 훨씬 낮답니다.
한편, 일본은 전자제품 수거율을 높여 도시광산 산업에 성공한 대표적인 나라예요. 재활용 산업이 발전한 기타큐슈시는 쓰레기 봉지가 4종류나 될 정도로 분리 수거를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어요. 그 결과, 이 도시는 가전제품 회수율이 50% 정도로 높답니다.

현재 일본은 도시광산에서 세계 매장량의 16%에 달하는 금을 채취해 보유하고 있어요. 또, 이 금을 이용해 2020년 도쿄올림픽 메달을 제작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답니다.




생산한 기업이 책임진다!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의 역할도 중요해요. 우선 전자제품에 포함된 성분은 제품을 만든 기업이 가장 잘 알아요. 그래서 전자제품에 들어 있는 환경오염 물질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지요. 애플이 만든 리암 로봇이 아이폰을 가장 정밀하고 안전하게 분해할 수 있었던 것도 같은 이유랍니다.
 
또, 기업이 나서면 허가 받지 않은 곳에서 폐전자제품이 불법적으로 거래되는 것도 막을 수 있어요. 이런 곳에서 폐전자제품이 거래되어 금속 자원을 탐내는 외국으로 수출되는 경우가 많거든요. 그러면 부품을 재활용하거나 금속 자원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된답니다.
 
부품이 블록 형태로 들어 있어 사용자가 직접 수리할 수 있는 페어폰. 이처럼 기업이 자원의 재활용률을 높이는 제품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 아무렇게나 버렸던 전자제품이 값비싼 자원으 로 다시 보이지 않니? 전자제품 속 금속을 재활용하면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어. 그러기 위해서는 충분히 다 쓴 전자제품을 올바르게 처리해야 한다는 사실 을 기억해 줘!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휴대전화에서 금을 찾아라! 도시광산
Part 1. 수명이 다한 물건들은 어디로 갔을까?
Part 2. 금부터 희소금속까지, 폐전자제품에는 자원이 가득!​
Part 3. 안전하게 분해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한다!​
Part 4. 성공의 열쇠는 폐전자제품 회수​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7년 12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박영경 기자
  • 도움

    이재천(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회수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이성원(에코시티서울 부장), 박승수(한양대학교 자원환경처리연구실 연구원), 신도연(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회수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신호정(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원기술정책실 전문위원)
  • 일러스트

    이창우

🎓️ 진로 추천

  • 환경학·환경공학
  • 전자공학
  • 금속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