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자는 스마트폰을 깨워라!
도시광산 산업이 성공하려면 폐전자제품을 수거하는 것이 꼭 필요해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폐전자제품이 집 안에 방치되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아 회수되는 양이 적지요. 특히 우리나라의 휴대전화 회수율은 평균 4.2%로, 전세계 휴대전화 회수율인 16%보다 훨씬 낮답니다.한편, 일본은 전자제품 수거율을 높여 도시광산 산업에 성공한 대표적인 나라예요. 재활용 산업이 발전한 기타큐슈시는 쓰레기 봉지가 4종류나 될 정도로 분리 수거를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어요. 그 결과, 이 도시는 가전제품 회수율이 50% 정도로 높답니다.
현재 일본은 도시광산에서 세계 매장량의 16%에 달하는 금을 채취해 보유하고 있어요. 또, 이 금을 이용해 2020년 도쿄올림픽 메달을 제작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답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6/C201712N018_3.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6/C201712N018_4.jpg)
생산한 기업이 책임진다!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의 역할도 중요해요. 우선 전자제품에 포함된 성분은 제품을 만든 기업이 가장 잘 알아요. 그래서 전자제품에 들어 있는 환경오염 물질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지요. 애플이 만든 리암 로봇이 아이폰을 가장 정밀하고 안전하게 분해할 수 있었던 것도 같은 이유랍니다.
또, 기업이 나서면 허가 받지 않은 곳에서 폐전자제품이 불법적으로 거래되는 것도 막을 수 있어요. 이런 곳에서 폐전자제품이 거래되어 금속 자원을 탐내는 외국으로 수출되는 경우가 많거든요. 그러면 부품을 재활용하거나 금속 자원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된답니다.
![부품이 블록 형태로 들어 있어 사용자가 직접 수리할 수 있는 페어폰. 이처럼 기업이 자원의 재활용률을 높이는 제품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6/C201712N018_5.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6/C201712N018_6.jpg)
# 아무렇게나 버렸던 전자제품이 값비싼 자원으 로 다시 보이지 않니? 전자제품 속 금속을 재활용하면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어. 그러기 위해서는 충분히 다 쓴 전자제품을 올바르게 처리해야 한다는 사실 을 기억해 줘!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휴대전화에서 금을 찾아라! 도시광산
Part 1. 수명이 다한 물건들은 어디로 갔을까?
Part 2. 금부터 희소금속까지, 폐전자제품에는 자원이 가득!
Part 3. 안전하게 분해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한다!
Part 4. 성공의 열쇠는 폐전자제품 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