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송편 양과 함께 있으니 문득 시 한 수가 생각 나. 서정주 시인의 ‘국화 옆에서’라는 시야. 한번 읊어 볼게.
흠흠,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
크아, 한 송이의 국화꽃…. 역시 시월에는 국화지~.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20/C201220N010_img_99.jpg)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잠깐만! 나 궁금한 게 생겼어. 이 시에 나오는 국화꽃은 어떻게 생겼을까? ‘내 누님 같이 생긴 꽃’ 말이야.
잉? 송편 양, 국화꽃 본 적 없어? 노랗고 그, 그 주먹만한 큰 꽃 있잖아!
그건 국화꽃의 한 종일 뿐이잖아. 국화는 종도 많고, 종마다 색도 모양도 정말 다양하다 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개발한 국화 품종한 해도 이렇게 많은 걸?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20/C201220N010_img_01.jpg)
정말 많지? 하지만 이건 정말 일부일 뿐이라고. 농촌진흥청은 지난 90년대 초반부터국화육종을 시작해 지금까지 약 250종이나 개발했대.
우와, 국화는 정말 다양하구나. 이중에 우리 누님을 닮은 국화꽃은 뭘까? 난 성숙하고 우아한 ‘백마’일 것 같아.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어떻게 생각해? 한번 찾아보렴.
흠흠,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
크아, 한 송이의 국화꽃…. 역시 시월에는 국화지~.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20/C201220N010_img_99.jpg)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잠깐만! 나 궁금한 게 생겼어. 이 시에 나오는 국화꽃은 어떻게 생겼을까? ‘내 누님 같이 생긴 꽃’ 말이야.
잉? 송편 양, 국화꽃 본 적 없어? 노랗고 그, 그 주먹만한 큰 꽃 있잖아!
그건 국화꽃의 한 종일 뿐이잖아. 국화는 종도 많고, 종마다 색도 모양도 정말 다양하다 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개발한 국화 품종한 해도 이렇게 많은 걸?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20/C201220N010_img_01.jpg)
정말 많지? 하지만 이건 정말 일부일 뿐이라고. 농촌진흥청은 지난 90년대 초반부터국화육종을 시작해 지금까지 약 250종이나 개발했대.
우와, 국화는 정말 다양하구나. 이중에 우리 누님을 닮은 국화꽃은 뭘까? 난 성숙하고 우아한 ‘백마’일 것 같아.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어떻게 생각해? 한번 찾아보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