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션 2. 연안의 쓰레기를 치워라!





해류를 분석하고 긴 플라스틱 막대 하나를 썼더니 쓰레기가 스스로 모이네! 그런데 이 방법으로는 육지에서 가까운 연안이나 해안가의 쓰레기를 모으기는 어려울 거 같아. 뭐 좋은 방법이 없을까?

블랙홀처럼 쓰레기를 쭉쭉!


쓰레기를 청소하는 또 다른 방법이 유명 동영상 사이트에서 화제가 됐어요. 주인공은 평소 서핑을 즐기던 호주의 앤드류 터튼과 피트 세글린스키였지요.

여느 때처럼 서핑을 즐기던 두 청년은 문득 바다에 떠 있는 쓰레기가 많다는 사실을 깨달았어요. 서핑은 수면 위를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스포츠인데, 수면 위에 떠 있는 쓰레기가 장애물 역할을 하면 넘어지거나 갑자기 방향이 바뀌는 등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거든요. 결국 두 청년은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해양쓰레기를 청소하는 물건을 발명하게 됐지요.

‘씨빈(seabin)’으로 불리는 이 발명품은 얼핏 보기엔 평범한 쓰레기통처럼 생겼어요. 그런데 이 쓰레기통이 바다 속으로 들어가면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답니다.

기다란 막대에 고정된 씨빈은 물에 들어가자마자 주변의 바닷물을 빨아들여요. 통 아래쪽에 관이 연결돼 있는데, 그 끝에 펌프가 물을 빨아들여 인공적인 해류를 만드는 거지요. 그럼 통으로 들어온 물은 관을 따라 이동한 뒤 다시 바다로 들어가요. 이때 물을 따라 통으로 들어간 쓰레기는 헝겊을 통과하지 못하고 그대로 걸러지게 되는 원리랍니다.

씨빈 작동 원리

➊ 펌프의 힘에 의해 바닷물과 해양쓰레기 함께 씨빈 안으로 빨려들어간다.

➋ 헝겊을 통과한 바닷물은 바닥에 연결된 관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쓰레기는 헝겊에 걸러진다.

➌ 관을 따라 이동한 바닷물은 육지에 있는 펌프로 들어간다.

➍ 바닷물은 펌프를 통과한 뒤 다시 바다로 돌아간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
미션 1. 먼 바다의 쓰레기를 치워라!
미션 2. 연안의 쓰레기를 치워라!
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6년 08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이윤선
  • 도움

    박영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순환기후연구센터 박사
  • 도움

    해양쓰레기대응센터, TheOceanCleanup, Seabin project, TANZICT
  • 일러스트

    김영수, 박장규

🎓️ 진로 추천

  • 환경학·환경공학
  • 해양학
  • 기계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