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김경환, 김우현, 조가현 기자(gahyun@donga.com), 박현선 기자(tempus1218@donga.com)
도움 : 박형주(국제수학연맹 집행위원), 백형렬(KAIST 수리과학과 교수), 임선희(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 이석형(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박사과정생), 허준이(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수학과 연구원), 히로나카 에리코(미국수학회 발행물 편집자)
기타 : [일러스트] 이병익
참고자료 : ‘Report of the IMU ad hoc committee for prizes and medals’, Michael Barany ‘The Fields Medal should return to its roots’, George J. Borjas and Kirk B. Doran ‘Prizes and Productivity: How Winning the Fields Medal Affects Scientific Output’, 미국수학회 ‘미국수학회보 52권 9월호’, 히로나카 헤이스케 ‘학문의 즐거움’
이미지 출처 : abelprize, 위키미디어, Crafoord prize_Jan Norden, GIB, rafoord prize_Jan Norden, 모스크바대학교, 2006 ICM
수학동아 2018년 08호
도움 : 박형주(국제수학연맹 집행위원), 백형렬(KAIST 수리과학과 교수), 임선희(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 이석형(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박사과정생), 허준이(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수학과 연구원), 히로나카 에리코(미국수학회 발행물 편집자)
기타 : [일러스트] 이병익
참고자료 : ‘Report of the IMU ad hoc committee for prizes and medals’, Michael Barany ‘The Fields Medal should return to its roots’, George J. Borjas and Kirk B. Doran ‘Prizes and Productivity: How Winning the Fields Medal Affects Scientific Output’, 미국수학회 ‘미국수학회보 52권 9월호’, 히로나카 헤이스케 ‘학문의 즐거움’
이미지 출처 : abelprize, 위키미디어, Crafoord prize_Jan Norden, GIB, rafoord prize_Jan Norden, 모스크바대학교, 2006 ICM
수학동아 2018년 08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