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특집] 같이 할래? 시민과학

  지구사랑탐사대는 어느덧 올해로 10번째 주인공을 기다리고 있어요. 2013년 약 300명으로 시작된 지구사랑탐사대는 이제 3000여 명의 대원이 다양한 생물을 탐사하고 기록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로 성장했지요. 시민과학자들이 앱에 올려준 자료는 과학자들의 연구에 쓰이고 있어요. 지구사랑탐사대와 시민과학, 아직 잘 모르겠다고요? ...(계속)
글 : 윤태인 기자 어린이과학동아 yoon_taein@donga.com
도움 : 아담 슈나이더 미국 해군 천문대,시민과학 프로젝트 백야드 월드: 플래닛 9
도움 : 김동광 고려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도움 : 김범학 평택 현화초등학교
도움 : 시민과학 프로젝트 GLOBE 시민과학자
도움 : 김지연 고려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도움 : 나미라 이화여자대학교 자연대학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도움 : 장이권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지구사랑탐사대
도움 : 베슬린 코스토프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시민과학 프로젝트 행성 순찰대
도움 : 존 위스니우스키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 물리천문학부,시민과학 프로젝트 원반 탐정 수석 과학
사진 : 지구사랑탐사대
참고자료 : 김지연 드림미디어 <기술 거버넌스를 위한 질문 파일>
참고자료 : 사이언스북스 시민과학센터 <과학의 공공석  회복을 위한 시민 사회의 전략, 시민의 과학>
참고자료 : 앨런 어윈 당대 <과학은 시민에게 복무하고 있는가? 시민과학>
일러스트 : 박장규
일러스트 : 젠틀옐로우
디자인 : 정해인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03호
이전
다음
1
어린이과학동아 2022년 03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