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2030년 8월 로봇 하나가 뜨거운 태양 아래 화성의 붉은색 분화구 아래로 거침 없이 내려온다. 바퀴로 움직이지 않아 흔들림이 없다. 단촐해 보이는 실험 장비는 오히려 무게감을 준다. 한국과 미국 NASA 과학자들이 협력해 만든 우주로봇이다. 화성분화구 내부에서 인간이 거주할 수 있는 지역을 찾는 게 주요 미션이다.

화성을 탐사하는 한국형 우주로봇을 상상해 본 모습이다. 한국의 과학자들도 최근 1~2년 사이에 우주로봇에 눈을 떴다. 항공우주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 토목공학자 등이 힘을 합치고 있다. 달에서 토양을 굴착하고 분석할 수 있는 로봇도 이미 나왔다. 우주로봇을 만드는 과학기술은 산업 경쟁력을 한단계 업그레이드한다. 시작이 반이라고 했던가. 한국형 우주로봇 개발, 이제 시작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레디~액션! 화성 로봇의 모험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
Bridge. 바람 타고 화성 누비는 텀블위드
PART 2. 한국 우주로봇 화성 가는 날
PART 3. 우주로봇 대전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2년 08월 과학동아 정보

  • 이태식 기자

🎓️ 진로 추천

  • 항공·우주공학
  • 컴퓨터공학
  • 토목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