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획] 수리생물학 노트 I, 새는 어떻게 날까?

내가 방금까지 열심히 보고 있던 게 뭔지 알아? 바로 내가 만든 새 도감이야! 무인 비행체를 만들기 위해 날개 유형이 다른 새 4마리를 샅샅이 조사했거든. 날개가 어떤 특징을 가져야 상황에 따라 재빠르게 움직이고 대처하는 ‘기동성’이 있는 걸까?

 

 

빠르게 솟아오르는Phasianus colchicus

 

날개 특징

종횡비(가로 길이 ÷ 세로 길이)가 약 6.8로 조류 중 작은 편에 속하며, 끝부분의 깃털들이 서로 분리돼 넓게 펴져 있다.

비행 특징

오랫동안 날진 못하지만 강한 날갯짓으로 자리에서 바로 뛰어올라 짧은 시간에 급상승한다.

 

 

작지만 빠른 유럽칼새Apus apus

 

날개 특징

날개의 가로 길이는 길고, 세로 길이는 짧아서 빠르고 정교하게 비행할 수 있다.

비행 특징

최대 비행 속도는 31m/s로, 수평 비행 속도가 빠른 새 중 하나이다. 하루 평균 500km 이상 난다.

 

2007년 데이비드 렌틴크 네덜란드 흐로닝언대학교 교수는 칼새가 날개를 펴는 모양을 바꿔 활공 시간을 2배로 늘리거나 회전 속도를 3배로 높일 수 있음을 밝혔다.

 

 

비행 제어가 뛰어난 Falco peregrinus

 

날개 특징

먹이를 발견하면 공기 저항을 줄여 빠르게 내려가기 위해 긴 날개를 뒤로 접어서 몸을 유선형으로 만든다.

비행 특징

가장 까다로운 비행 행동 중 하나인 급강하를 통해 착륙하는 새로, 비행을 제어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최대 비행 속도는 약 90m/s로 매우 빠르다.

 

2022년 그레이엄 테일러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수리생물학과 교수팀은 매가 횃대에 올라서기 위해 날 때 먼저 날개를 퍼덕이며 U자형으로 빠르게 급강하한 후, 횃대에 오르기 직전 정확하게 착지하기 위해서 진행 속도를 늦추는 것을 알아냈다.

 

 

기류를 타고 나는 검은눈썹 알바트로스 / Thalassarche melanophris

 

날개 특징

최대 종횡비가 18로 굉장히 커서 바다 위로 일정하게 부는 기류를 타고 활공할 수 있다.

비행 특징

날개가 길고 좁아서 오랜 활공에는 유리하지만, 빠른 이착륙에는 불리하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2년 11월 수학동아 정보

  • 김진화 기자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항공·우주공학
  • 물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