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방이 수평선인 망망대해에 배 한 척이 떠 있었어요. 선장으로 보이는 사람이 망원경을 꺼내 길게 뽑아들었습니다. 망원경을 눈에 갖다 대고 곳곳을 둘러본 선장은 무언가를 발견한 듯 얼굴에 미소를 떠올렸어요. 그토록 고대하던 보물섬을 찾은 걸까요?

 

선장이 이용한 망원경은 겹쳐서 작게 만들 수 있어요. 쓰지 않을 때는 작게 갖고 있다가, 필요할 때 길게 만들어 저 멀리에 무엇이 있는지 보는 것이지요. 그런데 7월 30일부터 8월 3일까지 미국 LA에서 열린 시그라프(미국계산기학회 컴퓨터 그래픽스 분과회의 명칭) 연례 회의에서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연구팀이 이런 원리를 곡선에도 활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망원경처럼 겹치면 작아지고, 뽑으면 커지는 곡선 형태를 만들기 위해 전체 모양을 이루는 조각 중 필요한 부분만 나선형으로 설계했어요. 여러 개의 조각을 결합해 하나의 모양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원하는 곡선 모양을 여러 개의 나선으로 나눠 근사하는 방법을 쓴 거지요.

 

이 알고리즘을 활용하면 길이를 조절하면서 구부러진 모양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로봇의 팔에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무궁무진해요. 연구를 이끈 크리스 유 연구원은 이메일 인터뷰에서 “이 알고리즘을 이용한 로봇팔은 이동할 때는 작게 만들었다가 필요할 때는 길게 뽑아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길이를 줄이는 일도 가능하다”며, “우리의 최종 목표 중 하나는 트랜스포머처럼 변신할 수 있는 로봇 모양을 설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라고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가볍게, 튼튼하게, 유연하게 기하학으로 만드는 로봇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

Part 2. 변신 로봇 등장?!

Part 3. 넘어지면 단단해지는 기하학 구조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7년 11호 수학동아 정보

  • 김경환 기자(dalgudot@donga.com)
  • 도움

    MEGABOTS, 고제성(아주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이기주(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학교 기계항공공학과 교수), 장재호((주)FRT 대표), 크리스 유(카네기멜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연구원)
  • 기타

    [일러스트] 김대호, 임성훈

🎓️ 진로 추천

  • 컴퓨터공학
  • 기계공학
  • 전기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