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Part 2. 수학동아, 조직 S의 비밀을 파헤치다!


페르미 추정법으로 본 조직 규모
조직 S는 우리나라 어린이 몇 명에게 선물을 배달 할까요? 적어도 산타가 있다고 믿는 어린이 모두에게 선물을 전해야 산타 역할을 하는 조직으로서 의미가 있을 겁니다. 기초 정보로 대략적인 규모를 추정하는 ‘페르미 추정법’으로 근사치를 구해 봅시다.

미국의 잡지 ‘애틀랜틱’에 따르면, 어린이들은 만 5세부터 산타의 존재를 의심합니다. 재클린 울리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과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만 5세 어린이의 83%, 7세 어린이의 63%, 9세 어린이의 33%만이 산타가 있다고 믿습니다. 이를 토대로 조직 S가 선물을 전해야 할 우리나라의 어어린이는 대략 몇 명일지 계산해 봤습니다.

성탄절 선물 1개의 무게는 1kg을 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요원 한 사람이 한 번에 배달할 수 있는 선물은 32명 분량뿐입니다. 만약 요원 모두가 한 달 동안 한 번씩만 캐나다와 한국을 오가기로 한다면 모든 선물을 배달하기 위해서 약 12만 107명의 요원이 필요합니다.

더 짧은 기간 내에 선물을 모두 배달하려면 이보다 더 많은 요원이 필요합니다. 한 달 동안 캐나다와 한국을 두 번씩 오가면서 어린이 64명에게 선물을 배달한다고 했을 때 필요한 요원은 그 절반인 6만 54명입니다. 조직 S의 요원이 최소 6만 54명이라는 뜻이지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12월의 비밀 조직, S
Part 1. 비밀 조직의 존재를 눈치채다!
Part 2. 수학동아, 조직 S의 비밀을 파헤치다!
Part 3. 게임이론으로 본 항공사의 속사정
Part 4. 요원들이 억울하게 붙잡힌 이유
Part 5. 비행기가 활주로를 뜨지 못하는 이유
Part 6. 선물 나르는 보이지 않는 손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6년 12월 수학동아 정보

  • 고은영 기자
  • 도움

    이관중 교수
  • 도움

    장윤석 교수
  • 기타

    참고 자료 이상원 외 <게임이론적 접근법에 의한 이착륙시설의 비용배분>
  • 일러스트

    오승만

🎓️ 진로 추천

  • 수학
  • 심리학
  • 통계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