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나간 야생동물들이 돌아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생태계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물인 ‘핵심종’이 도입된 리와일딩 성공 사례를 함께 살펴봐요.
너무 작은 땅이란 없다
지난 2002년, 스위스 바젤시는 세계 최초로 모든 신축 건물의 평평한 지붕에 녹지를 조성해야 한다는 법을 통과시켰어요. ‘녹색 지붕’이라 불리는 이 생태계는 사람을 위한 공간인 일반적인 옥상 정원과는 조금 달라요. 2015년 개정안 기준 최소 12cm 두께의 토착 지역 흙을 깔아야 하고, 스위스 토종 식물종이 포함되어야 하며, 지렁이 같은 무척추동물이 살 수 있도록 높이 30cm, 너비 3m의 둔덕도 만들어야 하지요.
생물다양성을 확대하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시작된 녹색 지붕 프로젝트는 20여 년이 지난 지금 바젤시에 100만 m가 넘는 거대한 녹색 생태계를 만들었어요. 녹색 지붕의 생태계를 조사한 논문에 따르면 녹색 지붕에는 80종의 딱정벌레, 40종의 거미, 175종의 식물 등 도시에서 보기 힘든 생물이 살고 있어요. 도심에서도 리와일딩을 시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지요. 김산하 대표는 “리와일딩은 가기 힘든 곳이나 아주 넓은 땅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어요. 이어 “집에 있는 화분에서부터 모든 곳으로 퍼져갈 수 있다”며 개개인의 리와일딩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어요.
미국의 생태학자 알도 레오폴드는 그의 책 ‘모래 군의 열두 달’에서 ‘야생의 관점에서 너무 작은 땅은 없다’고 했어요. 그러니 야생으로 바꿀 수 있는 나만의 땅이 있다면 리와일딩에 도전해 보세요. 그리고 땅이 어떻게 변하는지도 관찰해 봐요!
미국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늑대
네덜란드 우스터바더스플라산의 대형 초식동물
영국 넵 캐슬의 비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