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집] 땅을 사서 땅에 돌려준다?!

지난 7월 25일, 생명과 환경을 연구하는 공익 단체 생명다양성재단이 토지를 사기 위한 모금을 시작했대! 시민들이 함께 돈을 모아 자연에 돌려줄 땅을 산다는데 이게 무슨 뜻이지?

 

▲GIB
 

 

모든 생물의 보금자리, 땅

 

“와, 이곳이구나. 과연 어떤 모습으로 변할까?”

 

8월 11일, 기자는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에 있는 한 밭을 찾았어요. 고추, 가지 등 여러 채소가 자라는 평범한 농경지의 모습이었지요. 그런데 사실 이 밭은 아주 특별한 장소예요. 바로 ‘야생 신탁’의 첫 번째 대상지거든요!

 

야생 신탁은 우리나라 최초의 야생 영장류학자인 생명다양성재단 김산하 대표를 중심으로 시작된 연구 기획이에요. 부동산으로 사람에게 이용되는 땅을 식물, 동물, 균류 등 모든 생명체를 위한 공간으로 돌려주는 게 야생 신탁의 목표지요. 이는 새로운 생태 보전 활동인 ‘리와일딩’에 뿌리를 두고 있어요. 

 

리와일딩이란 ‘다시’라는 뜻의 영어 단어 ‘re’와 ‘야생의’라는 뜻의 영어 단어 ‘wilding’이 합쳐진 신조어로, 다시 야생으로 돌린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요. 국제 사회에서는 이미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개념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생소하고 학계에서 정식으로 정해진 우리말도 없어요. 리와일딩을 직역해서 ‘재야생화’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지만, 정확한 표현은 아니에요. 

 

 

전통적인 생태 복원이 자연을 과거의 어느 시점으로 온전히 돌려놓고자 하는 거라면, 리와일딩은 자연이 힘을 회복하고 스스로 미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예요. 그래서 리와일딩에서는 자연스러운 과정을 통해 원래 그곳에 살지 않던 식물이나 동물이 오더라도 괜찮다고 여겨요. 외래종을 최대한 멀리하려는 기존의 보전법과 사뭇 다른 부분이지요.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권에는 아직 리와일딩 성공 사례가 없어요. 만약 야생 신탁에 성공한다면 조리읍의 땅은 우리나라 최초의 ‘새로운 야생’이 될지도 몰라요! 

 

 

 

_ 인터뷰 : 김산하 박사(생명다양성재단 대표)

“리와일딩은 자연이 주인공이 되는 거예요.”

 

 

Q.프로젝트를 기획한 계기는 무엇인가요?

지금까지 생태 보전은 대부분 무언가를 반대하곤 했어요. 설악산에 케이블카를 설치하지 말자거나 봉산에 편백숲을 조성하지 말자거나요. 그런데 리와일딩은 개발에 반대하기만 하는 게 아니라 ‘야생’이라는 지향점을 갖고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요.

Q.땅을 사는 데 성공하면 그곳에서 어떤 일을 하나요?

농막 등 지금 있는 인공시설만 치우고 다른 건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을 예정이에요. 그다음은 영원히 내버려두는 거죠. 특정 종이 와야 한다는 목표를 정해두는 게 아니라 어떤 종이 오더라도 좋겠다는 생각으로 지켜보는 거예요.

Q.리와일딩한 곳에 사람은 들어가면 안 되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리와일딩은 사람을 몰아내고 자연과 차단하는 것이 아니에요.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 가꾸어야 할 대상으로 여기던 야생을 받아들이고 원래 모습 그대로 존중하는 거예요. 조리읍 땅에도 언젠가 사람을 초대할 생각이에요. 와서 가만히 머물다가 떠나면 돼요. 다른 동물들이 하는 것처럼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4년 9월 15일 어린이과학동아(18호) 정보

  • 박현선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통계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