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와 세종문화회관에 갔다가 거대한 파이프들로 벽면을 채우고 있는 피아노를 보았어요. 그런데 엄마 말씀이 피아노가 아니라 파이프오르간이래요. 피아노와 파이프오르간은 어떻게 다른 걸까요? 이종호(서울 서정초 3)
피아노
건반을 누르면 솜 망치(해머)가 현(줄)을 두드리면서 소리를 내는 악기로 원래 이름은 ‘피아노포르테’예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건반을 살살 누르면 작은 소리를(피아노), 건반을 세게 누르면 큰 소리를(포르테) 연주할 수 있어요. 피아노에는 건반이 88개가 있으며, 건반마다 현이 이어져 있어요. 저음을 내는 부분에는 1줄, 중음을 내는 부분은 2줄, 고음을 내는 부분은 3줄이 달려 있지요. 그 이유는 고음을 내는 부분으로 갈수록 현이 가늘어지기 때문에, 저음에 비해 음량이 작은 고음을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서예요. 피아노는 건반에서 손을 떼면 진동차단장치가 현으로 내려와 모든 소리가 멈춘답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405/C201405N002_img_01.JPG)
+ 현을 튕기는 건반악기도 있다?
작은 피아노처럼 생긴 하프시코드(쳄발로)는 건반을 누르면 건반 끝에 달려 있는 가죽인 플렉트럼이 현을 튕기면서 소리를 내요. 그래서 기타처럼 ‘챙챙’거리는 소리가 나지요. 현을 두드리는 대신 튕기는 원리이므로 손가락의 힘을 조절해도 피아노처럼 음을 여리거나 세게 칠 수 없답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405/C201405N002_img_02.JPG)
파이프오르간
파이프에 공기를 넣어 소리를 내는 악기예요. 피아노와 달리 건반이 2~3개 층으로 되어 있고, 발로 연주하는 ‘발 건반’이 달려 있어요. 건반을 누르면 건반마다 이어져 있는 연결대가 파이프를 열면서 바람을 불어 넣어 공기를 진동시키는 원리로 소리를 내지요. 파이프 하나하나가 피리 같은 역할을 한답니다. 파이프는 길수록 저음을 내고 짧을수록 고음을 내요. 파이프오르간은 플루트나 오보에 같은 다른 관악기 소리도 흉내 낼 수 있어요. 또 파이프가 많을수록 다양한 음색을 낼 수 있지요. 세종문화회관에 있는 파이프오르간에는 파이프가 8000개나 들어 있답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405/C201405N002_img_99.jpg)
피아노
건반을 누르면 솜 망치(해머)가 현(줄)을 두드리면서 소리를 내는 악기로 원래 이름은 ‘피아노포르테’예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건반을 살살 누르면 작은 소리를(피아노), 건반을 세게 누르면 큰 소리를(포르테) 연주할 수 있어요. 피아노에는 건반이 88개가 있으며, 건반마다 현이 이어져 있어요. 저음을 내는 부분에는 1줄, 중음을 내는 부분은 2줄, 고음을 내는 부분은 3줄이 달려 있지요. 그 이유는 고음을 내는 부분으로 갈수록 현이 가늘어지기 때문에, 저음에 비해 음량이 작은 고음을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서예요. 피아노는 건반에서 손을 떼면 진동차단장치가 현으로 내려와 모든 소리가 멈춘답니다.
+ 현을 튕기는 건반악기도 있다?
작은 피아노처럼 생긴 하프시코드(쳄발로)는 건반을 누르면 건반 끝에 달려 있는 가죽인 플렉트럼이 현을 튕기면서 소리를 내요. 그래서 기타처럼 ‘챙챙’거리는 소리가 나지요. 현을 두드리는 대신 튕기는 원리이므로 손가락의 힘을 조절해도 피아노처럼 음을 여리거나 세게 칠 수 없답니다.
파이프오르간
파이프에 공기를 넣어 소리를 내는 악기예요. 피아노와 달리 건반이 2~3개 층으로 되어 있고, 발로 연주하는 ‘발 건반’이 달려 있어요. 건반을 누르면 건반마다 이어져 있는 연결대가 파이프를 열면서 바람을 불어 넣어 공기를 진동시키는 원리로 소리를 내지요. 파이프 하나하나가 피리 같은 역할을 한답니다. 파이프는 길수록 저음을 내고 짧을수록 고음을 내요. 파이프오르간은 플루트나 오보에 같은 다른 관악기 소리도 흉내 낼 수 있어요. 또 파이프가 많을수록 다양한 음색을 낼 수 있지요. 세종문화회관에 있는 파이프오르간에는 파이프가 8000개나 들어 있답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405/C201405N002_img_9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