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섯 번째 대멸종] 한 종이 사라지면 생태계가 와르르!

지구엔 생물이 많으니까 몇 종은 사라져도 괜찮은 거 아니냐고? 그건 아주 위험한 오해야. 지금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 건지, 한 종이 사라지는 걸 왜 막아야 하는지 알려줄게.

 

 

개구리 사라지자, 뱀도 사라졌다.


모든 생물은 생태계의 복잡한 그물망 속에서 서로 영향을 주며 살아요. 따라서 만약 한 종이 사라지면, 그와 관계있던 다른 생물 종들도 연쇄적으로 사라지게 돼요.


지난해 2월 14일,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와 메릴랜드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파나마, 콜롬비아, 페루 등 중남미 지역에서 개구리가 줄자 뱀도 급격히 줄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20세기 초 ‘항아리곰팡이 감염병’이 동아시아에서 유럽으로 퍼지면서 사라진 양서류가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했어요. 이를 위해 연구팀은 6년간 중미 파나마의 엘 코페지역 열대림을 탐험한 자료와 항아리곰팡이균이 유행하기 전 7년간 조사한 양서류의 군집 개체 수와 서식지 등의 자료를 비교했지요. 이후, 한 종의 변화가 다른 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계산하는 컴퓨터 모델에 적용했어요. 


그 결과, 이 지역 양서류가 항아리곰팡이균에 감염돼 75%가 사라졌고, 이를 주 먹이로 삼던 열대 뱀의 종 수도 30종에서 21종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어요. 종 다양성뿐 아니라 개체 수도 줄었어요. 현장 조사를 하면 5회 이상 나타나던 뱀 17종 중 9종의 출현하는 개체 수가 줄었지요. 뱀들의 영양 상태도 나빠졌고요. 연구를 이끈 지프킨 박사는 “뱀을 주식으로 하는 맹금류나 포유류도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이어 “생물다양성이 붕괴되고 있다”며 “희귀한 종들은 우리가 사라졌다는 것도 모른 채 멸종할 수 있다”고 말했답니다.

 

 

 

대멸종 후 새로운 종 등장? 꼭 그렇지는 않아!


이전까지 과학자들은 대멸종 후 새로운 종들이 출현해, 지구 전체의 생물 종 수가 균형을 맞춰왔다고 생각했어요. 살아남은 종들이 달라진 환경에 적응해 다양하게 분화하고 진화한다고 말이죠. 하지만 지난해 12월 15일, 일본 도쿄공업대학교 지구생명과학연구소 제니퍼 호열 컷힐 박사팀은 대멸종과 새로운 종의 탄생엔 인과관계가 없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대멸종과 새로운 종이 나타난 시기의 연관성을 찾기 위해 인공지능을 개발했어요. 이후 과학자들의 연구를 토대로 인공지능에 화석종과 화석이 발견된 지층의 시기를 학습시켰어요. 같은 시기에 살던 종도 기록했지요. 그 뒤 인공지능으로 생물들의 멸종과 탄생 시기를 살펴봤어요. 
분석 결과, 연구팀은 대멸종과 대규모의 종이 탄생한 시기가 일치하지 않고, 인과관계도 명확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어요. 연구를 이끈 컷 힐 박사는 “대멸종이 새로운 종의 탄생을 부르는 건 아니”라며 “선캄브리아기와 석탄기 시기에는 앞서 대멸종이 일어나지 않았지만 다양한 종이 나타나기도 했다”고 말했어요. 

 

 

_ 인터뷰

김진한(국립생물자원관 전시과)

 

 

"다음 차례는 인간이에요"

 

한 종이 사라지면 다른 종이 사라지는 연쇄효과가 나타나 전 생태계가 흔들려요. 이를 ‘도미노’나 ‘젠가’에 비교하기도 해요. 


단적인 예가 ‘도도새’와 ‘도도나무(Sideroxylon grandiflorum)’예요. 1977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생태학자 스텐리 템플 박사는 모리셔스에서 도도나무를 발견했어요. 13그루만이 남았었고 모두 300살 정도였죠. 이 나무는 자신의 열매를 도도새가 먹고 배설해야만 새로운 싹이 날 수 있는 데, 도도새가 멸종한 후 번식하지 못해 멸종위기에 처한 거였죠.


대멸종 후 새로운 종이 출현한다고 주장하는 분들도 있어요. 하지만, 아예 새로운 종이 탄생하는 게 아니에요. 기존의 종이 환경에 적응해 진화하는 것인데, 그 시간은 수백만 년 이상이 걸리지요. 현재 생물들이 사라지는 속도는 새로운 종이 나타나는 속도에 비해 매우 빨라 심각한 상황이에요. 당장 다음 차례는 인간이 될 거예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1년 03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박연수 기자 기자

🎓️ 진로 추천

  • 환경학·환경공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 도시·지역·지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