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기 여러 사람들이 원석을 관찰하고 있어. 그런데…. 윽! 가까이 들여다보니 다이아몬드 안에 불순물이 많아. 보석으로는 못 쓸 것 같은데, 뭘 그리 관찰하는 거지?

 

 

다이아몬드로 지구 내부를 연구한다?!


다이아몬드는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불순물이 끼어들기도 해요. 이를 ‘내포물’이라고 해요. 내포물이 섞인 다이아몬드는 보석으로서의 가치는 떨어지지만, 과학자들에게는 좋은 연구 대상이에요.  다이아몬드 속 내포물을 분석하면 맨틀에 어떤 물질이 있는지, 지구 내부는 어떤 환경인지 등을 알 수 있거든요. 즉, 다이아몬드는 땅 속에서 일어난 사건을 기록하는 일종의 타임캡슐이지요.

 

올해 3월 이탈리아, 캐나다 국제공동연구팀은 다이아몬드에서 ‘칼슘 실리케이트(CaSiO3) 페브로스카이트’라는 광물을 발견했어요. 이 광물은 지구 내부에 네 번째로 풍부하고, 맨틀을 이루는 중요한 물질이라고 알려졌지만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이 물질을 본 적이 없었지요. 이 물질은 불안정해서 지구 내부 650km 부근에서만 정상적인 상태로 존재하거든요.

 

 

연구팀은 해양 지각의 일부가 약 800km 아래에 있는 맨틀로 내려앉을 때 이 다이아몬드가 만들어졌고, 그 과정에서 칼슘 실리케이트 페브로스카이트가 포함됐을 것이라고 추정했지요. 연구에 참여한 캐나다 앨버타대학교 그라함 피어슨 교수는 “단단한 다이아몬드 속에 보존된 덕분에 칼슘 실리케이트 페브로스카이트를 처음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고 말했어요.

 

 

올해 3월에는 미국 네바다대학교 라스베이거스 캠퍼스 올리버 샤우너 교수팀이 다이아몬드 속에서 ‘제7형 얼음’이라는 특수한 얼음 결정을 발견했어요. 일반 얼음이 1기압, 0℃에서 액체인 물이 된다면, 제7형 얼음은 영상에서도 얼음의 형태를 유지해요. 지금까지 제7형 얼음은 실험실에서 3만 기압을 가해야 만들 수 있었는데, 자연 상태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에요.

 

분석 결과, 제7형 얼음을 포함한 다이아몬드는 538℃, 지하 400~800km의 깊이에서 만들어졌어요. 이는 지구 내부에 물이 있다는 걸 의미하지요.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이용재 교수는 “그동안 맨틀에 액체 상태의 물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은 해왔지만, 그 증거를 발견한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보석부터 지구의 타임캡슐까지, 다이아몬드의 활약

Part 1. 다이아몬드는 어디서 만들어질까?

Part 2. 다이아몬드는 지구 내부의 타임캡슐?!

Part 3. 우주에도 다이아몬드가 있다!

Part 4. 다이아몬드, 인공적으로 만든다?!

Part 5. 다이아몬드 합성 공장을 가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8년 14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오혜진 기자 hyegene@donga.com
  • 사진 및 도움

    일진다이아몬드,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이용재 교수
  • 만화

    이창우

🎓️ 진로 추천

  • 지구과학
  • 화학·화학공학
  • 물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