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에서 열린 포럼에 참석한 호킹 박사.

 

 

흔히 나를 ‘장애를 극복한 과학자’라고 많이 부르지만, 난 내 몸을 장애물로 생각하지 않았어. 그저 움직이기가 조금 불편했을 뿐, 연구엔 전혀 방해가 되지 않았거든.

 

 

제 마음 안에서 저는 자유롭습니다”


스티븐 호킹 박사는 1963년 21살이 되던 어느 날, 갑자기 몸이 조금씩 불편해지는 것을 느꼈어요. 그를 평생 옭아맨 ‘루게릭병’의 시작이었지요. 이 병은 온몸의 운동신경세포가 선택적으로 파괴되는 불치병이에요. 결국 몸이 딱딱하게 굳으며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인 병이랍니다.

 

딸 루시 호킹과 함께 강연 중인 모습.

 

 

하지만 불편한 몸은 호킹 박사가 연구를 하는 데에 문제가 되지 않았어요. “몸을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생각할 시간이 더 많았다”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남들보다 더 자유롭게 생각하며 연구에 많은 시간을 투자했거든요. 또한 “일찍 죽을 것이라 예상하며 살고 있는 나에게 시간은 언제나 귀중하다”라고 말하며 장애를 오히려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계기로 만들었답니다. 그 결과, 우주의 탄생, 블랙홀의 비밀 등을 밝혀내며 인류가 우주를 더 깊이 이해하는 데에 큰 공헌을 했지요.

 

76세에 생을 마감한 호킹 박사의 장례식은 지난 3월 31일, 그가 30년간 일했던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의 한 교회에서 열렸어요. 그는 선배 과학자인 아이작 뉴턴과 찰스 다윈의 곁에 편히 잠들었답니다.

 

항공기에서 무중력 체험을 하고 있는 모습.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스티븐 호킹의 위대한 질문

Part 1. 장애는 연구에 방해가 될까?

Part 2.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Part 3. 블랙홀은 어디에 있을까?

Part 4. 블랙홀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Part 5. 인류에게 남겨진 숙제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8년 08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정한길 기자·jhg1road@donga.com
  • 도움

    이기명(한국고등과학원 물리학과 교수), 김향배(한양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제롬 건틀릿(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물리학과 교수)
  • 기타

    [일러스트] 오승만

🎓️ 진로 추천

  • 물리학
  • 천문학
  • 수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