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2/C201705N022_01.jpg)
이제 육지를 벗어나 바다로 가 볼까요~? 다음으로 소개할 미래 도시는 해상 도시랍니다. 넘실넘실 밀려오는 큰 파도 위에서 건물을 짓고 살 일이 걱정된다고요? 이곳이라면 몇 십 년을 살아도 끄떡없을 거예요!
태평양 한가운데 도시가 떠오른다!
지난 1월 푸른 바다 위에 둥둥 떠 있는 해상 도시 상상도가 큰 화제가 됐어요. 미국의 ‘시스테딩(Seasteading) 연구소’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바다에 도시를 짓겠다고 발표한 거예요. 폴리네시아는 애니메이션 영화 <;모아나>;의 배경이 되는 곳으로, 태평양 한가운데 있는 섬들이랍니다.
지난 2008년 설립된 시스테딩 연구소는 10년 동안 해상도시를 연구해왔어요. 전세계 생물학자, 엔지니어, 변호사, 의료인, 예술가 등 수많은 분야의 사람들이 모였지요. 하지만 해상 도시를 지을 장소를 찾는 일이 무척 어려웠어요. 왜냐하면 바다 위에서 사람들이 살기 위해서는 땅만큼이나 안정적이어야 했고, 동시에 그 바다를 소유한 나라가 적극적으로 바다를 내 주고 도와 줘야 하기 때문이죠.
그렇게 오랫동안 후보지를 물색해 오던중, 마침내 조건에 딱 맞는 곳을 찾았어요. 적도 부근에 위치한 폴리네시아는 바다가 잔잔해 사람들이 오랫동안 살기에 안정적이거든요.
적도는 무척 덥기 때문에 공기가 끊임없이 올라가는 곳이에요. 이 빈 곳을 채우기 위해 북쪽에서는 북동 무역풍이, 남쪽에서는 남동 무역풍이 불어오죠. 그런데 이 둘이 부딪히면 상쇄가 되면서 도리어 바람이 불지 않는 무풍지대가 만들어져요. 게다가 파도를 막아 줄 ●환초도 많아서 해상 도시가 흔들리지 않고 떠 있을 수 있답니다.
태평양 한가운데 도시가 떠오른다!
지난 1월 푸른 바다 위에 둥둥 떠 있는 해상 도시 상상도가 큰 화제가 됐어요. 미국의 ‘시스테딩(Seasteading) 연구소’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바다에 도시를 짓겠다고 발표한 거예요. 폴리네시아는 애니메이션 영화 <;모아나>;의 배경이 되는 곳으로, 태평양 한가운데 있는 섬들이랍니다.
지난 2008년 설립된 시스테딩 연구소는 10년 동안 해상도시를 연구해왔어요. 전세계 생물학자, 엔지니어, 변호사, 의료인, 예술가 등 수많은 분야의 사람들이 모였지요. 하지만 해상 도시를 지을 장소를 찾는 일이 무척 어려웠어요. 왜냐하면 바다 위에서 사람들이 살기 위해서는 땅만큼이나 안정적이어야 했고, 동시에 그 바다를 소유한 나라가 적극적으로 바다를 내 주고 도와 줘야 하기 때문이죠.
그렇게 오랫동안 후보지를 물색해 오던중, 마침내 조건에 딱 맞는 곳을 찾았어요. 적도 부근에 위치한 폴리네시아는 바다가 잔잔해 사람들이 오랫동안 살기에 안정적이거든요.
적도는 무척 덥기 때문에 공기가 끊임없이 올라가는 곳이에요. 이 빈 곳을 채우기 위해 북쪽에서는 북동 무역풍이, 남쪽에서는 남동 무역풍이 불어오죠. 그런데 이 둘이 부딪히면 상쇄가 되면서 도리어 바람이 불지 않는 무풍지대가 만들어져요. 게다가 파도를 막아 줄 ●환초도 많아서 해상 도시가 흔들리지 않고 떠 있을 수 있답니다.
●환초: 고리 모양으로 배열된 산호초.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2/C201705N022_02.jpg)
바다 위 건물을 짓는 방법!
바다에 건물을 세우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해요. 바다 위에 너른 구조물을 띄우고, 그 위에 건물을 짓는 거죠. 아주 튼튼한 스티로폼 위에 건물을 지어 띄우는 거라고 생각하면 된답니다. 이것을 ‘플로팅 건축’이라고 해요.
여기에 체인과 와이어, 로프 등으로 주변의 육상이나 바다의 밑바닥과 연결해 높은 파도와 다양한 기후 변화에 흔들리지 않도록 더 단단하게 고정한답니다.
바다 위에서는 육상과는 다른 재료로 건물을 지어야 해요. 바닷물의 소금기가 철근을 부식시키기 때문이죠.
시스테딩 연구소에서는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에 주목하고 있어요. 지오폴리머 콘크리트는 지구상에 가장 많은 세 가지 원소인 산소, 규소, 그리고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만들어요. 그래서 환경 친화적인 콘크리트라고도 불리죠.
이 콘크리트에는 여러 장점이 있는데, 특히 염분이 철근에 닿지 않도록 차단하는 특징이 있어요. 그래서 해상 도시에 안성맞춤인 재료로 손꼽힌답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702/C201705N022_0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