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

송골매의 비행 제어, 올빼미의 소음 제거

 하늘을 날고자 하는 인류의 꿈은 언제부터였을까. 인류에게 새는 아주 오래 전부터 동경의 대상이었다. 1505년 이탈리아의 천재 과학자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새의 몸 구조와 새의 비행 원리를 해부학과 생리학 지식을 동원해 연구했다. 그 결과 새의 날개 윗부분과 아랫부분에서 압력 차이가 존재해 새가 하늘을 날 수 있는 힘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계속)
글 : 서동준 과학동아 bios@donga.com

과학동아 2018년 12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2018년 12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