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상상력으로 가득찬 동그라미

문명과 현실세계의 키워드

시바는‘혼돈’을 상징하는 원숭이를 발밑에 누르고 춤을 추기 시작한다. 이 춤은 시바를 둘러싼 원 밖으로 퍼져나가 우주를 조화롭게 만든다.시바는‘혼돈’을 상징하는 원숭이를 발밑에 누르고 춤을 추기 시작한다. 이 춤은 시바를 둘러싼 원 밖으로 퍼져나가 우주를 조화롭게 만든다.

미술 시간, 한 어린이가 스케치북에 수십 개의 동그라미를 그리고 있다. 크기는 제각각 다르지만 모양은 모두 같다. 이게 과연 그림일까. 시간이 지나자 동그라미는 엄마의 얼굴로, 방긋 웃는 꽃으로, 꿀꿀대는 돼지로도 되살아났다. 스케치북은 순식간에 왁자지껄해졌다. ‘동그라미 그리려다 무심코 그린 얼굴’이라는 노래도 있듯이 원은 반지름을 ...(계속)

글 : 이근무 위덕대 정보통신공학부 kmrhee@uu.ac.kr

과학동아 2007년 01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2007년 01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