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기획] 그래프, 확률, 벡터까지 더해 램지 수 범위 좁혔다!

에르되시가 확률적 방법론을 통해 램지 수의 하한을 찾은 이후로 약 70년 동안 수학자들은 하한을 발전시키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2020년 9월, 온라인 논문 등록 사이트 ‘아카이브’에 다색 램지 수의 하한을 크게 높인 연구 결과가 올라왔습니다. 데이비드 콘론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수학과 교수님과 아사프 퍼버 어바인 캘리포니아대학교 ...(계속)

수학동아 2021년 02호
이전
다음
1
수학동아 2021년 02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