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2412/1734242462-4df6bd50-1f2a-415c-b702-d8c7648337f9.png)
배터리 화재는 전기차만의 문제가 아니다. 휴대전화, 전동킥보드, 무선 청소기 등 대부분의 무선 기기에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들어 있다. 전문가들은 전기차를 넘어 일상에서의 배터리 화재를 조심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전문가들에게 물었다.
Q 전기차 외에 리튬 이온 배터리가 들어간 다른 기기도 화재가 발생하는가?
다양한 기기에서 발생한다. 대표적으로 2006년 델 노트북에서 화재가 발생해 대규모 리콜이 있었고, 2017년 삼성전자 휴대전화의 배터리가 폭발했던 사례도 있다. 이 외에도 무선 청소기, 카메라 등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특히 전동킥보드 배터리 화재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Q 전동킥보드 화재가 특히 위험한 이유는?
전동킥보드는 주로 집 현관에서 충전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화재가 발생하면 탈출구가 막혀 인명 피해가 커질 수 있다. 또한, 무선 선풍기나 보조 배터리 등 배터리 셀 1~2개 정도의 화재는 가정에서 진압할 수 있지만, 전동킥보드는 수십 개의 배터리 셀이 연결돼 있어 열폭주가 발생하면 화재 진압이 어렵다. 따라서 전기차의 경우는 물론 전동킥보드 배터리 화재의 위험성도 사전에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Q 전동킥보드나 전기차 화재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일반인은 전동킥보드 이상의 화재를 진압할 수 없다. 불을 끄려고 하지 말고, 즉시 도망가는 것이 최선이다. 화재가 발생하기 전 흰 연기가 나기 시작하는데, 이때는 이미 손쓸 수 없는 상태다.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절대 근처에 머무르거나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 신속하게 대피한 다음 소방서에 신고해야 한다. 신고할 때 전기차나 전동킥보드의 차종, 모델, 화재 발생 장소를 정확히 알려준다면 진압에 도움이 된다.
Q 전기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
사고 등으로 충격이 가해진 전기차는 배터리 점검을 받는 것이 좋다. 외관상 문제없어 보여도 배터리에 손상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가솔린이나 디젤 차량도 화재 위험이 있는 조건에서 언제나 폭발 가능성이 있다. 이런 위험성을 항상 인지하고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Q 중국산 배터리 사용이 위험한가?
중국산 배터리라고 반드시 화재 위험이 높은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019~2020년 전기차 화재 사고가 많이 발생했던 현대자동차의 코나는 중국산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았다. 초기 배터리는 생산 시설과 제조 과정에서 충분히 표준화된 검토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터리가 어느 나라에서 생산됐는지보다, 어떻게 무슨 인증을 받았는지가 더 중요하다.
Q 배터리는 어떻게 충전해서 사용해야 하나?
정격 규격의 충전기를 사용하고 과충전을 피해야 한다. 필요할 때만 충전하고, 충전이 완료된 제품은 바로 분리해 두는 것이 좋다. 완충된 상태로 오래 두면 배터리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저온이나 고온과 같은 극한 환경에서는 배터리 충전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배터리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아지면 배터리 내부에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Q 마지막으로 일상에서 안전하게 배터리를 사용하는 방법은?
가장 중요한 것은 인증된 제품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다. 최근 직구를 통해 미인증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데, 조금 비싸더라도 모든 부품이 안전하게 설계됐음을 인증받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정해진 사용 방법대로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배터리를 가연성 물질 근처에 두지 않거나, 배터리가 부풀었을 때 즉시 수리 센터에 맡겨야 한다. 즉 기본을 지키는 것이 두려운 배터리 화재를 막을 수 있다.
2023년 리튬 이온 배터리 화재 사고 건수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2412/1734242520-0ad365dd-ff39-47c7-96b7-343975ae029f.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