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transplant] 그는 나에게 고마워할 것이다

 

“이 박사님, 이제 그만 하시죠. 손에 든 거 내려놓고 저희와 함께 가셔야겠습니다.”


갑자기 들이닥친 저 경찰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 잘 모르겠다. 시체를 절도했다느니, 생명윤리법 위반이라느니. 마지막엔 살인죄까지 들먹인다.


억울하다. 살인죄는 무슨, 나는 사랑한 죄밖에 없다. 내게서 도망치는 그를 급히 쫓아갔을 뿐인데. 돌진하는 차 앞으로 먼저 뛰어든 건 그였다. 그래도 그는 운이 좋은 남자다. 의학, 생물학, 생체공학, 기계공학에 능통한 나 같은 여자를 만나 새 생명을 얻었으니 말이다. 이제 평생 나만 사랑하겠지. 200년 전 소설 속 괴물은 창조자를 원망했지만 그이는 분명 나에게 고마워할 것이다. 질병이나 장애로 좌절하는 세상 사람들 역시 나를 은인으로 기억할 것이다.

 

[FRANKENSTEIN] transplant

 

“괴물이 뭘까요?” 당신의 생각을 들려주세요.


괴물을 만들어내는 괴물 같은 과학자를 이해하나요? 아니 그 전에, 괴물이 뭘까요?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적 공상과학소설(SF)의 효시로 꼽히는 ‘프랑켄슈타인’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과학기술 시대에 우리가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사회적, 윤리적 질문들을 던지고 있습니다. 이런 고민은 이제 막 과학에 발을 들인 젊은 과학자들에게 더 큰 의미로 다가올 것입니다. 당신의 생각을 과학동아에 알려주세요. 저희는 먼저, 김재인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객원연구원의 글 ‘괴물과 함께 잘 사는 법’을 제시하겠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200년만의 환생, 프랑켄슈타인

[팔과 다리 만들기] 팔 이식, 전자의수 무엇을 원해요

[심장과 생식기 연결하기] 당신의 심장을 다시 뛰게 만들겠어

[눈,코,입 심기] 내가 보이나요, 내 목소리가 들리나요

[피부, 머리카락 붙이기] 당신 머리카락을 쓸어 주고파

[transplant] 그는 나에게 고마워할 것이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