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Origin]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걸어서 연구소 속으로 14


도쿄 외곽 사가미하라시에 위치한 JAXA 우주과학연구소(ISAS).
위성을 운용하는 관제실과, 새로운 위성을 조립하고 극한 환경에 대해 검증하는 테스트 동이 있다.

 

우주 기술 분야에서 앞서 나가는 나라라고 하면 흔히 미국과 러시아를 떠올리는데요.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에 대해 들으면 생각이 조금은 달라질 겁니다. 일단 현재까지 로켓을 100회 넘게 발사했는데(오!) 성공률이 90%에 육박하고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전세계에서 가장 큰 실험모듈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미 2005년에 우주선 ‘하야부사’를 소행성으로 보내 처음으로 소행성 샘플을 채취해 왔고요. 이런 기술이 다 어떻게 나오게 됐는지, JAXA의 연구 중심 캠퍼스 우주과학연구소(ISAS)를 살펴봤습니다.

금성탐사선 성공… 내년엔 수성탐사선도​
JAXA는 문부과학성 우주과학연구소(ISAS), 항공우주기술연구소(NAL), 우주개발사업단(NASDA) 이 세 기관이 2003년에 통합해 만들어졌습니다. 덩치가 큰 만큼 일본 안에서만 열여덟 곳이 있는데요. 도쿄도 쵸후시에 본사가 있고, 이바라키현 쓰쿠바시에는 쓰쿠바 센터라는 큰 우주센터가 있습니다. 가고시마현에는 다네가시마, 우치노우라 발사장이 있고요, ISAS는 도쿄 외곽인 사가미하라시에 있습니다.

ISAS의 연구 주제는 엔지니어링부터 은하까지 굉장히 다양한데요. 저는 개인적으로 금성탐사위성 ‘아카쓰키(새벽이라는 뜻)’가 가장 인상 깊습니다. 아카쓰키는 포기를 모르는 위성입니다. 첫 번째 시도에서 궤도 진입에 실패했는데, 무려 5년을 기다려 재도전에 성공했거든요. 최근 금성 대기에서 길이가 1만 km나 되는 활 모양 무늬를 관측했다는 반가운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밖에도 ISAS는 2010년에 태양의 복사압을 추진 동력으로 삼는 우주범선(이카로스)을 최초로 시험했고요. 2014년엔 ‘하야부사2’를 무사히 쏘아 올렸습니다. 내년에는 유럽우주국(ESA)과 함께 수성탐사선인 ‘베피콜롬보 호’를 발사할 계획입니다.

쏘아 올린 위성은 ISAS에 있는 위성관제실에서 운용하고 관제합니다. 신기한 점은 연구원들이 위성 제어에 참여한다는 것입니다. 보통은 위성에서 관측한 자료만 가져다 쓰는데요. ISAS에서는 연구자가 위성의 상황을 실시간 체크해서, 어떤 자료가 어떻게 산출되는지까지 확인한다고 합니다.
 

ISAS 연구소 1층에는 견학 공간이 있어 1년 내내 방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진다(위).
봄에는 연구소 안에 벚꽃이 만개한다(아래).​

 
1년에 한 번 ‘오픈하우스’
ISAS에 근무하는 직원은 총 1200명 정도 되는데요. 정규 연구직으로 근무하는 사람들은 모두 일본의 대학 교수들입니다. 그들의 지도학생과 엔지니어, 박사후연구원들이 협업해 연구를 진행합니다. 그런데 외국인 연구자 비율은 굉장히 낮다고 해요. 학생을 제외하면 10명 남짓이라고 합니다.

연구소는 JR 요코하마선 후치노베역에 내리면 걸어서 20분 거리입니다. 전철역과 연구소 사이에는 출퇴근 셔틀버스가 운행됩니다. 연구소의 1층에는 누구나 무료로 방문할 수 있는 견학 공간이 있고요, 1년에 한 번 씩은 ‘오픈 하우스’도 진행합니다. 이틀 동안 ISAS의 모든 연구팀들이 각자 하는 일을 대중들에게 소개하는 자리인데, 유치원생들도 연구원들과 심도 있게(?) 얘기를 나눌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일까요. 일본 시민들의 연구소 사랑은 좀 놀라웠습니다. 몇년 전에 ISAS를 이전한다는 얘기가 나왔는데, 시민들이 조용히 시위를 했다고 합니다! 그만큼 시민들이 연구소를 소중하게 여긴다는 거겠죠? 조금 부럽습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가장 좋아하는) 맛집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는데요. ISAS 서쪽에 수타 소바집이 있고요, 전철역과 ISAS 중간쯤에는 오키나와바가 있는데 요즘 연구원들 사이에서 인기 최고라고 합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7년 03월 과학동아 정보

  • 이영혜 기자
  • 도움

    이연주 연구원

🎓️ 진로 추천

  • 항공·우주공학
  • 물리학
  • 천문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